728x90
경상남도 경남 지방직 사회복지직 사복직 토목직 건설직 행정직 공무원 지방직 기술직 전기직 산림직 간호직 보건진료직 일반행정직 세무직 사회복지직 전산직 사서직 속기직 공업직 농업직 녹지직 해양수산직 보건직 식품위생직 환경직 시설직 방재안전직 방송통신직 9급 7급 의료기술직 운전직 행정직 8급 지도사 농촌지도사 농업연구직 농촌지도직 원예 축산 농업기계 작물보호 농업환경 토목직 학예연구직 기록연구직 연구사 수의직 공무원 경상남도인사위원회 공고 제 2020-17 호 2020년도 제2 ‧ 3회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 2020 년도 제 2 · 3 회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공개경쟁 및 경력경쟁 임용시험 시행 계획 을 다음과 같 이 공고합 니다 . 2020 년 2 월 13 일 경상남도인사위원회위원장 1. 선발예정 인원 ( 단위 : 명 ) 구분 시험 총 계 1,760 소 계 1,639 8 급 간 호 간 호 89 밀양 도 2, 7, 창원 거제 5, 2, 진주 양산 16, 통영 의령 3, 5, 사천 창녕 10, 2, 김해 고성 21, 3, 하동 2, 거창 2, 합천 3 보건진료 보 건 진 료 18 창원 2, 진주 4, 통영 1, 사천 1, 밀양 1, 의령 1, 함안 1, 남해 2, 산청 2, 거창 2, 합천 1 행 정 일 반 행 일 반 548 장 애 63 도 일괄 20 , 도 45, 창원 52, 진주 36, 통영 33, 사천 12, 김해 78, 밀양 20, 거제 16, 양산 11, 의령 13, 함안 29, 창녕 27, 고성 9, 남해 29, 하동 19, 산청 22, 함양 21, 거창 12, 합천 44 도 일괄 63 ( 도 15, 창원 15, 진주 2, 통영 2, 사천 2, 김해 5, 밀양 2, 거제 3, 양산 1, 의령 1, 함안 2, 창녕 1, 고성 1, 남해 2, 하동 2, 산청 1, 함양 2, 거창 1, 합천 3 ) 제 2 회 공개 경쟁 임용 시험 정 거제 1, 양산 1, 의령 1, 함안 2, 창녕 1, 남해 3, 하동 2, 산청 1, 함양 1, 거창 1, 합천 1 ) 지 일 반 40 의령 도 1, 2, 창원 창녕 7, 2, 진주 고성 2, 1, 통영 남해 1, 2, 김해 하동 13, 거제 거창 3, 합천 2 9 세 무 방 급 고성 1, 산청 1, 거창 1 ) 세 저소득층 1 도 일괄 1 ( 김해 1 ) 반 11 도 1, 창원 2, 진주 2, 사천 1, 김해 2, 양산 1, 전 산 전 일 산청 1, 거창 1 산 장 애 2 도 일괄 2 ( 도 1, 거창 1 ) 일 반 118 양산 도 1, 2, 진주 의령 19, 7, 통영 창녕 16, 4, 사천 남해 5, 1, 김해 하동 45, 2, 거제 함양 6, 2, 거창 3, 합천 5 사 회 복 거제 2, 양산 1, 의령 2, 창녕 1, 남해 1, 하동 1, 지 산청 1, 거창 1, 합천 1 ) 저소득층 8 도 일괄 8 ( 진주 1, 통영 1, 사천 1, 김해 1, 거제 1, 의령 1, 하동 1, 합천 1 ) - 1 - 종류 직급 직렬 직류 선발 예정 임용예정기관 및 인원 저소득층 24 도 일괄 24 ( 창원 3, 진주 1, 통영 1, 김해 4, 장 애 9 도 일괄 9 ( 도 1, 진주 1, 김해 2, 거제 1, 양산 1, 사회복지 장 애 22 도 일괄 22 ( 도 1, 진주 3, 통영 2, 김해 4, 밀양 1, -----------------------------------------------------Page 1----------------------------------------------------- 구분 시험 사 서 사 서 16 도 1, 창원 5, 진주 2, 사천 1, 김해 3, 양산 1, 함안 1, 남해 1, 거창 1 속 기 속 기 2 거제 2 일 반 기 계 19 도 1, 창원 2, 진주 5, 통영 1, 김해 1, 밀양 3, 거제 1, 양산 3, 남해 1, 거창 1 농 업 기 계 2 창원 1, 김해 1 공 업 일 반 전 기 25 도 1, 창원 2, 진주 4, 통영 1, 김해 6, 밀양 3, 거제 1, 양산 2, 남해 3, 하동 1, 거창 1 일 반 화 공 15 도 1, 창원 2, 진주 1, 통영 2, 사천 1, 김해 2, 밀양 2, 거제 1, 양산 2, 고성 1 일 일 반 54 의령 도 1, 3, 창원 함안 4, 3, 진주 창녕 8, 5, 김해 고성 10, 밀양 남해 2, 거제 하동 2, 반 산청 3, 거창 2, 합천 6 농 저소득층 2 도 일괄 2 ( 김해 1, 하동 1 ) 축 산 19 도 1, 진주 2, 김해 5, 밀양 2, 양산 1, 창녕 1, 고성 2, 남해 2, 하동 1, 산청 1, 합천 1 녹 지 산 림 자 원 35 도 2, 진주 3, 사천 1, 김해 9, 밀양 2, 거제 1, 양산 2, 함안 1, 창녕 2, 남해 2, 하동 1, 산청 4, 거창 3, 합천 2 제 2 회 공개 경쟁 임용 시험 조 경 7 진주 1, 양산 1, 함안 3, 남해 2 해양수산 일 반 수 산 22 도 12, 창원 1, 통영 1, 밀양 1, 거제 2, 남해 3, 하동 1, 합천 1 9 급 보 건 보 건 32 도 2, 창원 3, 진주 6, 통영 1, 사천 1, 김해 4, 밀양 2, 거제 2, 양산 2, 의령 3, 함안 1, 산청 2, 거창 3 임상병리 7 창원 2, 김해 4, 거제 1 의 료 방 사 선 4 창원 1, 사천 1, 의령 1, 거창 1 의료기술 기 술 치과위생 5 진주 2, 하동 1, 합천 2 도 6, 창원 2, 진주 3, 통영 2, 김해 10, 밀양 2, 거제 3, 양산 4, 의령 3, 함안 3, 창녕 3, 고성 2, 환 경 일 반 환 경 50 남해 2, 하동 2, 거창 1, 합천 2 일 반 토 일 반 239 도 30, 창원 30, 진주 13, 통영 10, 사천 4, 김해 21, 밀양 18, 거제 13, 양산 2, 의령 14, 함안 7, 창녕 9, 고성 7, 남해 17, 하동 6, 산청 5, 함양 10, 거창 8, 합천 15 시 설 목 고성 1, 거창 1 ) 도 2, 창원 10, 진주 4, 통영 5, 김해 8, 밀양 4, 건 축 64 양산 2, 의령 4, 창녕 3, 고성 3, 남해 7, 하동 3, 산청 2, 함양 2, 거창 4, 합천 1 지 적 26 진주 2, 통영 1, 김해 5, 밀양 1, 양산 1, 의령 3, 함안 2, 창녕 1, 고성 1, 남해 3, 하동 2, 산청 1, 거창 1, 합천 2 방재안전 방 재 안 전 8 도 1, 진주 2, 사천 1, 거제 1, 창녕 1, 남해 1, 하동 1 방송통신 통 신 기 술 13 창원 2, 진주 2, 통영 2, 김해 2, 고성 1, 하동 2, 산청 1, 거창 1 전자통신기술 4 도 4 - 2 - 종류 직급 직렬 직류 선발 예정 임용예정기관 및 인원 농 업 업 장 애 5 도 일괄 5 ( 도 1, 거제 1, 양산 1, 창녕 1, 거창 1 ) 물리치료 3 양산 1, 남해 1, 하동 1 저소득층 8 도 일괄 8 ( 진주 1, 김해 1, 밀양 2, 의령 1, 창녕 1, -----------------------------------------------------Page 2----------------------------------------------------- 예정 임용예정기관 및 인원 소 계 121 공개 경쟁 7 급 행 정 일 반 행 정 14 도 10, 창원 2, 진주 1, 김해 1 제 3 회 4 도 1, 통영 3 선 박 기 관 2 도 1, 통영 1 식품위생 식 품 위 생 2 도 2 9 급 위 생 위 생 2 거제 2 거창 1, 합천 2 운 전 전 보 훈 청 학예연구 학 예 일 반 3 통영 1, 김해 1, 양산 1 농업연구 작 물 5 도 5 경력 연 경쟁 구 임용 사 5 도 5 수 산 양 식 3 도 3 보건연구 의 학 5 도 5 지 도 농촌지도 사 농 업 31 진주 5, 사천 1, 김해 2, 의령 4, 함안 1, 창녕 1, 남해 7, 하동 2, 거창 5, 합천 3 원 예 4 밀양 2, 함안 1, 거창 1 축 산 2 사천 1, 밀양 1 9 급 6 진주 1, 통영 1, 밀양 1, 거제 1, 고성 1, 합천 1 일 반 전 기 2 고성 1, 거창 1 자 농 업 일 반 농 업 5 통영 1, 사천 1, 밀양 1, 남해 1, 함양 1 구분 모집 시 설 일 반 토 목 2 김해 2 ※ 9급 일반행정(일반) 의「도 일괄」모집 에 합격한 자는 도, 시 군의 결원 사정에 따라 배치하며, 시·군 결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배치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 장애인 및 저소득층「도 일괄」모집은 해당 분야 응시자 전체를 대상으로 상호 경쟁하여 합격자를 결정하며, 최종합격자 결정 시 별도 기준에 따라 ‘괄호’에 기재된 임용예정기관에 배정합니다. 2. 시 험 과 목 시험종류 직급 직 렬 직 류 시 험 과 목 8 급 간 호 간 호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간호관리 , 지역사회간호 보 건 진 료 보 건 진 료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지역사회간호 , 공중보건 제 2 회 공개 경쟁 임용 시험 9 급 행 정 일반행정 필수 (3) 국어 , 영어 , 한국사 선택 (2) 행정법총론 ,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 사회 , 과학 , 수학 필수 (3) 국어 , 영어 , 한국사 세 무 지 방 세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 사회 , 과학 , 수학 전 산 전 산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컴퓨터일반 , 정보보호론 필수 (3) 국어 , 영어 , 한국사 사 회 복 지 사 회 복 지 사회복지학개론 , 행정법총론 , 사회 , 과학 , 수학 , 선택 (2)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 3 - 종류 직급 직렬 직류 선발 구분 시험 해양수산 선 박 항 해 운 일 반 13 김해 1, 거제 1, 남해 3, 하동 2, 산청 1, 함양 2, 추 천 9 도 5, 진주 3, 김해 1 환경연구 환 경 2 도 2 시험 해양수산연구 수 산 자 원 고졸 공 업 일 반 기 계 ( 예정 ) 선택 (2) 지방세법 , 회계학 ( 회계원리 , 원가회계 및 정부회계 포함 ), -----------------------------------------------------Page 3----------------------------------------------------- 시험종류 직급 직 렬 직 류 시 험 과 목 필수 (3) 국어 , 영어 , 한국사 사 서 사 서 자료조직개론 , 정보봉사개론 , 사회 , 과학 , 수학 , 선택 (2)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속 기 속 기 필수 (3) 국어 , 영어 , 한국사 선택 (2) 행정법총론 ,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 사회 , 과학 , 수학 일 반 기 계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기계일반 , 기계설계 제 2 회 공개 경쟁 임용 시험 농 업 기 계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농업동역학개론 , 농작업기계학개론 공 업 일 반 전 기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전기이론 , 전기기기 일 반 화 공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화학공학일반 , 공업화학 농 업 일 반 농 업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재배학개론 , 식용작물 축 산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가축사양 , 가축육종 9 급 녹 지 산 림 자 원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조림 , 임업경영 조 경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조경학 , 조경계획 및 생태계관리 해 양 수 산 일 반 수 산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수산일반 , 수산경영 보 건 보 건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공중보건 , 보건행정 의 료 기 술 의 료 기 술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공중보건 , 해부생리학개론 환 경 일 반 환 경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화학 , 환경공학개론 일 반 토 목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응용역학개론 , 토목설계 시 설 건 축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건축계획 , 건축구조 지 적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지적측량 , 지적전산학개론 방 재 안 전 방 재 안 전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재난관리론 , 안전관리론 방송통신 통 신 기 술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통신이론 , 전자공학개론 전자통신기술 필수 (5) 국어 , 영어 , 한국사 , 전자공학개론 , 무선공학개론 공개 경쟁 임용 시험 7 급 행 정 일반행정 필수 (6) 국어 ( 한문포함 ) , 영어 , 한국사 , 헌법 , 행정법 , 행정학 선택 (1) 경제학원론 , 지방자치론 , 지역개발론 제 3 회 경력 경쟁 임용 시험 해양수산 선 박 항 해 필수 (3) 물리 , 선박일반 , 항해 선 박 기 관 필수 (3) 물리 , 선박일반 , 선박기관 9 급 식 품 위 생 식 품 위 생 필수 (3) 화학 , 식품위생 , 식품미생물 위 생 위 생 필수 (2) 사회 , 위생관계법규 운 전 운 전 필수 (2) 사회 , 자동차구조원리 및 도로교통법규 학예연구 학 예 일 반 필수 (3) 문화사 , 한국문화사 , 박물관학 농업연구 작 물 필수 (3) 재배학 , 실험통계학 , 작물육종학 연 구 사 해양수산연구 수 산 자 원 필수 (3) 수산학개론 , 수산자원학 , 수산생물학 수 산 양 식 필수 (3) 수산학개론 , 수산양식학 , 수산생물학 보건연구 의 학 필수 (3) 보건학개론 , 예방의학 , 미생물학 지 농 업 필수 (3) 재배학 , 작물생리학 , 농촌지도론 도 사 농촌지도 원 예 필수 (3) 재배학 , 원예학 , 농촌지도론 축 산 필수 (3) 축산학개론 , 가축사양학 , 농촌지도론 9 급 ( 예정 ) 자 농 업 일 반 농 업 필수 (3) 생물 , 재배 , 농업생산환경 구분 모집 시 설 일 반 토 목 필수 (3) 물리 , 토목일반 , 측량 ※ 「지방공무원 임용령」개정으로 2021년부터 7급 공개경쟁 임용시험의 영어, 한국사 과목은 영어 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되오니, “영어능력검정시험 및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체 안내【별첨 5】”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4 - 환경연구 환 경 필수 (3) 환경공학 , 환경화학 , 수질오염관리 고졸 공 업 일 반 기 계 필수 (3) 물리 , 기계일반 , 기계제도 일 반 전 기 필수 (3) 물리 , 전기이론 , 전기기기 -----------------------------------------------------Page 4----------------------------------------------------- ▸ 지방공무원 공개경쟁 임용시험 과목 개편 사전 안내 ( 2022 년 부 터 시 행) ◂ 9 급 공개경쟁 임용시험 과목 직 류 현 행 개 정 필수 (3) 선택 (2) 필수 (5) 일반행정 국어 , 영어 , 한국사 행정학개론 행정법총론 ( 지방행정 , 포함 ), 사회 , 과학 , 수학 국어 , 영어 , 한국사 , 행정법총론 ,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지방세 국어 , 영어 , 한국사 지방세법 , 회계학 ( 회계원리 , 원가회계 및 정부회계 포함 ),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사회 , 과학 , 수학 국어 , 영어 , 한국사 , 지방세법 , 회계학 ( 회계원리 , 원가회계 및 정부회계 포함 ) 사회복지 국어 , 영어 , 한국사 사회복지학개론 , 과학 , , 행정법총론 수학 , ,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사서 국어 , 영어 , 한국사 자료조직개론 사회 , 과학 , 정보봉사개론 , 수학 , ,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속기 국어 , 영어 , 한국사 행정학개론 행정법총론 ( 지방행정포함 , ), 사회 , 과학 , 수학 국어 , 영어 , 한국사 , 사회복지학개론 , 행정법총론 국어 , 영어 , 한국사 , 자료조직개론 , 정보봉사개론 국어 , 영어 , 한국사 , 행정법총론 , 행정학개론 ( 지방행정 포함 ) 3. 문 제 출 제 가. 道 자체출제 ( 문제은행식 운영 ) : 2. 시험과목의 붉은색 표시 과목 ( 문제 비공개 ) ➡ 시험종료 후 문제지 회수 나. 위탁출제 ( 인사혁신처 위탁출제 ) : 2. 시험과목의 파란색 표시 과목 ( 문제 공개 ) ➡ 시험종료 후 문제지는 회수하지 않음 ▷ 위탁출제 기관 : 인사혁신처 ▷ 위탁출제 과목 직급 과목수 대상 과목 2회 시험 : 국어, 영어, 한국사, 간호관리, 지역사회간호,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지방행정 포함) , 사회, 과학, 수학, 지방세법, 회계학 (회계원리, 원가회계 및 정부회계 포함) , 컴퓨터일반, 8 ‧ 9 급 46개 정보보호론, 사회복지학개론, 자료조직개론, 정보봉사개론, 기계일반, 기계설계, 전기이론, 전기기기, 화학공학일반, 공업화학, 재배학개론, 식용작물, 조림, 임업경영, 화학, 환경공학개론, 응용역학개론, 토목설계, 건축계획, 건축구조, 지적측량, 지적전산학개론, 재난관리론, 안전관리론 3회 시험 : 물리, 기계일반, 기계제도, 전기이론, 전기기기, 생물, 재배, 토목일반, 측량 7급 9개 3회 시험 : 국어 (한문포함) , 영어, 한국사, 헌법,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원론, 지방자치론, 지역개발론 ▷ 위탁출제 과목의 문제는 공개하며 해당 문제지는 시험 종료 후 회수하지 않습니다. ※ 출제범위 ○ 9급 : 2020년 부 터 2015년 개 정 교 육 과 정 을 적 용 하 며, 사회는 정치와 법 , 경제 , 사회 ․ 문화 / 과학은 물리학 Ⅰ , 화학 Ⅰ , 생명과학 Ⅰ , 지구과학 Ⅰ / 수학은 수학 Ⅰ , 수학 Ⅱ , 확률과 통계 , 수학에서 출제됩니다 . ○ 9급 고 졸(예 정)자 구 분 모 집 : 2020년 부터 2015년 개 정 교 육과 정 을 적 용 하 여, 기 계 설계 과목은 기계제도로, 식용작물 과목은 재배로, 응용역학 개론 과목은 토목일반으로 변경되며, 측량 과목은 2009년 교육과정의 측량 교과를 포함하여 출제됩니다. ○ 7급 : 행 정 학 은 지 방 행 정 이 포 함 됩 니 다. - 5 - -----------------------------------------------------Page 5----------------------------------------------------- 다. 9급 공개경쟁 임용시험의 과목간 난이도 차이로 인한 점수편차 해소를 위해 선택과목이 있는 직류 ( 일반행정 , 지방세 , 사회복지 , 사서 , 속기 ) 는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 50 조의 2 에 따 른 조 정 점 수 를 적 용 합 니 다 . ※ 9급 공개경쟁 임용시험의 과목개편(선택과목 폐지)에 따라 2022년부터 조정점수는 폐지됩니다. 4. 시 험 일 정 구분 원 서 접 수 등록기간 합 격 자 발 표 제 2 회 4. 6.( 월 ) ~ 4. 10.( 금 ) 필기시험 5. 20.( 수 ) 6. 13.( 토 ) 6.13. ~ 6.17. 7. 17.( 금 ) 시 험 [4.6.( 월 ) ~ 4.13.( 월 )] 면접시험 7. 17.( 금 ) 8.4.~8.12. (5 일간 ) 8. 27.( 목 ) 제 3 회 8. 3.( 월 ) ~ 8. 7.( 금 ) 필기시험 9. 24.( 목 ) 10. 17.( 토 ) 10.17. ~ 10.21. 11. 12.( 목 ) 시 험 [8.3.( 월 ) ~ 8.10.( 월 )] 면접시험 11. 12.( 목 ) 11.23.~11.25. (5 일간 ) 11. 30.( 월 ) 원서접수 시간은 시작일 09:00 ~ 마감일 18:00 종료(기간 중 24시간 운영) ※ 고졸(예정)자 구분모집의 경우, 응시 희망자는 2020. 6. 26.(금)까지 해당 학교로 신청하여야 하며, 해당 학교장은 학교별 추천서를 도 교육청(사본) 및 경남도청 인사과(원본)에 2020. 7. 3.(금)까지 제출하여야 합니다. 도 교육청은 추천현황표(총괄)를 2020. 7. 10.(금)까지 도청 인사과에 제출 하여야 하며, 추천서를 제출한 자에 한하여 원서를 접수 할 수 있습니다. 【별첨1】, 【별첨1-1】, 【별첨1-2】, 【별첨1-3】, 【별첨1-4】 참조 ※ 보훈청 추천 구분모집의 경우, 응시 희망자는 2020. 6. 26.(금)까지 임용예정기관 관할 지방 보훈(지)청으로 신청하여야 하며, 해당 지방보훈(지)청은 추천 현황을 2020. 7. 10.(금)까지 도청 인사과에 제출하여야 하며, 추천서를 제출한 자에 한하여 원서를 접수 할 수 있습니다. ※ 시험장소 공고, 합격자 발표는 경상남도 홈페이지 도정소식(시험정보란)에 공고하며, 서류전형 일정은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시 별도 공고합니다. ※ 필기시험 성적의 경우, 불합격자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시에, 합격자는 최종합격자 발표 시에 자치단체 통합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local.gosi.go.kr)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1 년 부 터 지 방 직 8 9 급 및 7 급 의 공 경 채 필 기 시 험 과 같 은 날 짜 에 시 행 되 는 시 험 의 응 시 원 서 는 1 개 기 관 의 1 개 시 험 에 만 접 수 가 가 능 하 며, 중 복 접 수 는 불 가 합 니 다. ※ 부득이한 경우 시험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5. 시험 및 모집 방법 가. 시험방법 1) 제 1 ․ 2 차 시험 ( 병합실시 ) : 선택형 필기시험 ( 과목별 20 문제 , 4 지택 1 형 , 100 점 만점 ) - 시험시간 : 2 과목 40 분 / 3 과목 60 분 / 5 과목 100 분 / 7 과목 140 분 2) 서류전형 : 응시자격 , 가산점 등이 소정의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심사 3) 제 3 차 시험 : 면접시험 ※ 前 단계 시험에 합격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 시험(서류전형 및 면접시험)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 6 - [ 취 소 기 간 ] 시험구분 시험장소 공 고 시험일자 가 산 점 -----------------------------------------------------Page 6----------------------------------------------------- 나. 모집방법 : 임용예정 기관 ( 도 , 시 ․ 군 , 도 일괄 ) 별로 합격자를 결정하며 , 합격자는 응시한 기관에 임용 받게 됩니다 . ※ 9급 일반행정(일반)의「도 일괄」모집 에 합격한 자는 도, 시·군의 결원 사정에 따라 배치하며, 시·군 결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배치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 장애인 및 저소득층 「도 일괄」모집 은 해당 분야 응시자 전체를 대상으로 상호 경쟁하여 합격자를 결정하며, 최종합격자 결정 시 별도 기준에 따라 ‘괄호’에 기재된 임용예정기관에 배정합니다. 6. 응 시 자 격 가. 응시연령 직급 및 직렬 응시연령 해당 생년월일 7급, 연구 ․ 지도사 20세 이상 2000. 12. 31. 이전 출생자 8 ․ 9 급 18세 이상 2002. 12. 31. 이전 출생자 ※ 9급 고졸(예정)자 구분 모집의 경우 고교 3년생 중 조기 입학한 17세(2003.12.31. 이전 출생자)도 응시 가능 나. 응시자격 결격사유 : 적용기준일 ( 당해시험의 면접시험 최종예정일 ) 「 지방공무원법 」 제 31 조 ( 결격사유 ) 의 결격사유에 해당하거나 , 「 지방공무원법 」 제 66 조 ( 정년 ) 에 해당되는 자 , 「 지방공무원임용령 」 제 65 조 ( 부정행위자등에 대한 조치 ),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등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이 정지당한 자는 응시할 수 없습니다 . ▸ 「 지 방 공 무 원 법 」 제31 조 ( 결 격 사 유) ◂ 1.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사람 3.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4.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유예기간이 끝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선고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사람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사람 6의2. 공무원으로 재직기간 중 직무와 관련하여 형법 제355조 및 제356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의3.「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의4.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가.「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징계로 파면처분을 받은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8. 징계로 해임처분을 받은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 7 - -----------------------------------------------------Page 7----------------------------------------------------- ▸ 「 지 방 공 무 원 법 」 제66 조 ( 정 년) ◂ ① 공무원의 정년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60세로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정년을 적용할 때 공무원은 그 정년에 이른 날이 1월에서 6월 사이에 있으면 6월 30일에, 7월에서 12월 사이에 있으면 12월 31일에 각각 당연히 퇴직한다. ▸ 「 지 방 공 무 원 임 용 령 」 제65 조 ( 부 정 행 위 자 등 에 대 한 조 치) ◂ ① 임용시험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사람에 대해서는 그 시험을 정지 또는 무 효 로 하거나 합격 결정을 취 소하고, 그 처분이 있은 날부터 5년간 이 영에 따른 시험과 그 밖 에 공무원 임용을 위한 시험의 응시자격을 정지한다. 1. 다른 수험생의 답 안지를 보거나 본인의 답 안지를 보여 주 는 행위 2. 대 리 시험을 의 뢰 하거나 대 리 로 시험에 응시하는 행위 3. 통신기기, 그 밖 의 신호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시험 내용에 관하여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는 행위 4. 부정한 자료를 가지고 있거나 이용하는 행위 5. 병역 , 가점, 영어능력시험의 성적에 관한 사항 등 시험에 관한 증명 서류에 거 짓 사실을 적거나 그 서류를 위조·변조하여 시험결과에 부당한 영 향 을 주 는 행위 5의2. 체력시험에 영 향 을 미 칠 목적으로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지 약물 을 복용 하거나 금지방법을 사용하는 행위 6. 그 밖 에 부정한 수단으로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시험결과에 영 향 을 미치는 행위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제82조 (비위면직자의 취업제한) ◂ ① 비 위면직자 등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 한다. 1. 공직자가 재직 중 직무와 관련된 부 패 행위로 당연퇴직, 파면 또는 해임된 자 2. 공직자 였던 자가 재직 중 직무와 관련된 부 패 행위로 벌금 300만원 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은 자 ② 비 위면직자 등은 당연퇴직, 파면, 해임된 경우에는 퇴직일, 벌금 300만원 이상의 선고를 받은 경우에는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날부터 5년 동안 다음 각 호의 취업 제한기관에 취업 할 수 없다. 1. 공공기관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부 패 행위 관련 기관 3. 퇴직 전 5년간 소 속 하 였던 부서 또는 기관의 업 무와 밀 접한 관련이 있는 영 리 사기 업 체 등 4. 영 리 사기 업 체 등의 공동이 익 과 상호 협 력 등을 위하여 설립 된 법인·단체 다. 학력 ‧ 자격(면허)증 제한 ( 당해시험의 면접시험 최종예정일 현재 유효한 것 ) 구분 시험명 직 급 직 렬 직 류 해당 학력 ․ 자격 ( 면허 ) 증 호 간 호 간호사 , 조산사 보 건 진 료 보 건 진 료 간호사 , 조산사 제 2 회 공개 경쟁 임용 시험 9 급 기 술 사 ( 컴퓨터시스템응용 , 정보통신 , 정보관리 ), 기 사 ( 전자계산기 , 정보통신 , 정보처리 , 전자계산기조직응용 , 정보보안 ), 전 산 전 산 산업기사 ( 전자계산기제어 , 정보통신 , 사무자동화 , 정보처리 , 정보보안 ), 기 타 (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 사 회 복 지 사 회 복 지 사 회 복 지 사 3 급 이 상 사 서 사 서 1 ․ 2 급 정사서 , 준사서 속 기 속 기 한글속기 3 급이상 의 료 기 술 임상병리사 ( 임상병리 ) 의 료 기 술 방사선사 ( 방사선 ) 의료기술 의 료 기 술 물리치료사 ( 물리치료 ) 의료기술 ( 치과위생 ) 치과위생사 시 설 지 적 지적기술사 , 지적기사 , 지적산업기사 - 8 - 8 급 간 -----------------------------------------------------Page 8----------------------------------------------------- 구분 시험명 직 급 직 렬 직 류 해당 학력 ․ 자격 ( 면허 ) 증 선박항해 기 술 사 ( 조선 ), 기사 ( 조선 , 항로표지 ), 산업기사 ( 조선 , 항로표지 ), 항해사 1 급부터 6 급까지 해양수산 선박기관 기 술 사 ( 기계 , 산업기계설비 , 조선 ), 기사 ( 일반기계 ), 산업기사 ( 컴퓨터응용가공 ), 기관사 1 급부터 6 급까지 9 급 식품위생 식품위생 기 술 사 ( 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식품), 기 사(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식품), 산업기사(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식품), 영양사, 위생사 위 생 위 생 영양사, 위생사 운 전 운 전 1 종대형운전면허 국어국문학 , 고고학 , 역사학 , 역사교육학 , 박물관학 , 문화재관리학 , 문화유적학 , 인류학 , 민속학 , 보존과학 , 문헌정보학 , 서지학 , 미술학 ( 미술사를 포함한다 ), 학 예 연 구 학 예 일 반 건축학 ( 건축사를 포함한다 ), 연극학 , 공연예술학 , 무용학 , 생물학 , 지질학 , 음악 , 지리학 , 조경학 , 가정학 ( 의생활 ․ 식생활 ․ 주생활분야 등 생활과학 분야를 포함한다 ) 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 학예사 ( 준학예사 포함 ) 자격을 취득한 사람 농학 , 자원식물학 , 농화학 , 환경학 , 원예학 , 생물학 , 물리학 , 화학 , 식물학 , 제 3 회 경력 경쟁 임용 시험 연구사 분자생물학 , 생화학 , 식품학 , 식품가공학 , 실험통계학 , 기상학 , 수자원학 , 농업연구 작 물 약학 , 한약학 , 환경공학 , 농생물학 , 미생물학 , 천연물화학 또는 관개 배수학을 전공한 사람 환경공학, 위생공학, 화학, 화학공학, 농화학, 환경화학, 도시계획학, 환경연구 환 경 약학, 토목공학, 식품공학, 물리학, 천문학, 기상학, 지질학, 지리 정보학, 산림자원학, 생물학 또는 해양학을 전공한 사람 수산자원 수산자원학, 어장학, 해양생산관리학, 해양생물학, 생물통계학 또는 생물학을 전공한 사람 해양수산 연 구 수산양식 수산양식학, 수산자원학, 어병학, 해양오염학, 해양생물학, 유전공학, 분자생물학, 단백질공학 또는 생물학을 전공한 사람 보건연구 의 학 보건학, 의학, 한의학, 치의학, 수의학, 미생물학, 생리학 또는 생화학을 전공한 사람 농 업 지도사 농 촌 지 도 원 예 농업계통(수의학을 포함한다)의 전문대학이상 졸업한 사람 축 산 일 반 기 계 원서접수일 현재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에서 해당 직렬 ( 직류 ) 과 관련된 9 급 공 업 학과를 이수하고 , 학교소재지가 경상남도 또는 응시자 거주지 요건 충촉자 중 고졸 ( 예정 ) 일 반 전 기 ① 전문교과 성취도가 평균 B 등급 이상이고 , 그 중 50% 이상의 과목에서 성취도가 A 이며 , 보통교과의 평균 석차비율이 50% 이내이거나 평균 자 구분 모집 농 업 일반농업 석차등급이 4.5 이내인 자이거나 , ② 졸업요건에 해당하는 학업과정 또는 학점을 이수 ․ 취득한 자로서 졸업 석차비율이 이수학과의 상위 50% 이내인 졸업 ( 예정 ) 자 시 설 일 반 토 목 또한 , 기술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각급 대학중퇴자도 포함 (2020.1.1. 이전 ) - 9 - -----------------------------------------------------Page 9----------------------------------------------------- 1) 응시자격 중 자격증을 필요로 하는 직렬 ( 직류 ) 은 해당 자격증 ( 면허증 ) 1 개 이상을 소지하여야 합니다 . 2) 연 구 사 의 경 우 “ 전 공 한 사 람 ” 이 라 함 은 「 고 등 교 육 법 」 에 의 한 대 학 ( 전 문 대 학 제외 ) 에서 해당학 및 관련계통의 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 (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을 포함 ) 을 말합니다 . “ 해당학 및 관련계통의 학 ” 해당여부는 소속 학교장 명의로 발행한 증명서에 의하여 판단하며 , 증명서에는 “ 우리대학 ( 교 ) 의 ○○ 학과는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험계획 공고문에 게재한 ○○ 학과와 동일 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함 ” 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 별첨 2 】 서식 ( 관련계통학과 증명서 및 추천서 ) 을 제출하여야 합니다 . ※ 동등 이상의 학력은 대학원에서 해당학 및 동일계통의 전공자( 석․박 사 학위)도 포함 (대학교에서 비 전공자도 대학원에서 해당학 및 동일계통의 석․박 사 학위를 취 득한 사람 이면 응시 가능) ▸ 연 구 사 학 력 제 한 변 경 사 전 안 내 ( 2021 년 부 터 시 행) ◂ 직 급 직 렬 해당 학력 현 행 개 정 편사연구 공업연구 농업연구 연구사 녹지연구 해양수산연구 (직 렬 및 직 류 별 해 당 학)* 을 전공한 사람 (직렬 및 직류별 해당학)*을 석사학위 이상 취 득 한 사 람 보건연구 환경연구 시설연구 * 위 표에서 “(직 렬 및 직류별 해당학)”은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인사규칙」의 [ 별표 2 ] 연구직 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등 ․ 전직시험 응시자격 구분표의 직 렬 및 직류별 해당학임. ※ 연구사에 응시하는 수험생의 사전준 비 를 위해 2년의 유예기간(2019 ~ 2020년)을 두 어 2021년부터 시행 ※ 위 표는 학력 제한사항이 변경되는 직 렬 만 표시하 였 으며, 표시된 사항 외 변경사항 없음 ( 기 록 연 구 사, 학 예 연 구 사, 수 의 연 구 사 의 학 력 제 한 사 항 은 변 동 없 음) 3) 지도사의 경우 “ 전문대학이상 졸업한 사람 ” 이라 함은 전문대학을 포함한 「 고등 교육법 시행령 」 제 70 조에 따른 동등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 “ 농업계통 ( 수의학을 포함한다 )” 의 학과 해당 여부는 소속 학교장 명의로 발행한 증명서에 의하여 판단하며 , 증명서에는 “ 우리대학 ( 교 ) 의 ○○ 학과는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문에 게재되어 있는 농업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함 ” 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 별첨 2 】 서식 ( 관련계통학과 증명서 및 추천서 ) 을 제출하여야 합니다 . ※ 관련계통 대학에 편입한 자는 관련계통의 대학을 수료하거나 졸 업 한 자만 응시 가능함 4) 9 급 고졸 ( 예정 ) 자 경력경쟁모집의 경우 학교장 추천대상자 자격기준은 【 별첨 1 】 , 【 별첨 1-1 】 , 【 별첨 1-2 】 및 【 별첨 1-4 】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2), 3) 의 증명서는 학과 명칭이 공고문에 게재된 학과와 동일한 경우에도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시 안내하는 기간 내에 반드시 제출하여야 합니다 . - 10 - -----------------------------------------------------Page 10----------------------------------------------------- 라. 거주지 제한 : 2020 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아래의 1) 과 2) 의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하여야 합니다 . 1) 2020. 1. 1. 전부터 최종 시험일 ( 면접시험 최종일 ) 까지 계속하여 경상남도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갖고 있는 사람으로서 동 기간 중 주민등록의 말소 및 거주 불명으로 등록된 사실이 없어야 함 2) 2020. 1. 1. 전까지 , 경상남도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두고 있었던 기간을 모두 합산 하여 총 3 년 이상인 사람 - 행정구역의 통 폐합 등으로 주민등록상 시 도의 변경이 있는 경우 현재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하며 , 과거 거주 사실의 합산은 연속하지 않더라도 총 거주한 기간을 월 ( 月 ) 단위로 계산하여 36 개월 이상이면 충족함 - 행정구역의 통 폐합에 의한 행정구역 기준 착오로 탈락하는 사례가 있음 ▸ 예시 ◂ 행정구역의 통 ‧ 폐합 이전 경상남도 행정구역이었던, 경상남도 양산군 기장읍 ‧ 장안읍 ‧ 철마면 ‧ 일광면 ‧ 정관면 일원은 1995. 3. 1.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편입되어, 현재 행정구역 기준 경상남도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두고 있었던 기간에 산입되지 않습니다. * 거 주 지 요건 의 확인은 “개인별 주민 등 록 표”를 기준으로 하며, 재외국 민 (해외영 주 권자)의 경우 위 요건 과 같 고 주민 등 록 또는 국내거소신고 사실 증명 으로 거 주 한 사실을 확인함. ▶ 단, 9급 일반행정직류 군(郡) 지역 응시자에 대해서는 별도 거주지 제한 적용 (도 일괄, 장애 및 저소득층 구분모집은 제외) ⇒ 아래의 ①과 ②의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할 경우 해당 군 (郡) 지역 응시 가능 ① 2020. 1. 1. 전부터 최종 시험일 (면접시험 최종일) 까지 계속하여 응시하고자 하는 당해지역 군(郡)내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갖고 있는 사람으로서 동 기간 중 주민등록의 말소 및 거주 불명으로 등록된 사실이 없어야 함 ② 2020. 1. 1. 전까지, 응시하고자 하는 당해지역 군(郡)내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두고 있었던 기간을 모두 합산하여 총 3년 이상인 사람 3) 9 급 고졸 ( 예정 ) 자 경력경쟁임용시험 응시자는 선발직류의 학과가 설치된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의 졸업자 또는 2021. 2 월 졸업예정자 이어야 하며 , 기술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각급 대학 중퇴자도 포함 (2020. 1. 1. 이전 ) 합니다 . ※ 9급 고졸(예정자) 구분 모집은 학교소재지가 경상남도 또는 응시자 거 주 지 요건 충족 자 (하나의 요건 만 충족 하면 응시가능) ▸ 9 급 고 졸( 예 정) 자 응 시 자 격 변 경 사 전 안 내 (2021 년 부 터 시 행) ◂ 구 분 응시 자격 현 행 개 정 9급 고졸 (예정)자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졸업자 및 졸업 예 정자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 졸업자의 경우 졸업일과 최종시험예정일 사이의 기간이 1년 이내인 사람으로 제한 - 11 - -----------------------------------------------------Page 11----------------------------------------------------- 마. 장애인 구분모집 응시 대상자 1) 「 장 애 인 복 지 법 시 행 령 」 제 2 조 에 따 른 장 애 인 및 「 국 가 유 공 자 등 예 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제 14 조 제 3 항에 따른 상이등급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2) 장 애 인 구 분 모 집 에 응 시 하 고 자 하 는 사 람 은 응 시 원 서 접 수 마 감 일 현 재 까 지 장 애인으로 유효하게 등록되거나 , 상이등급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등록 · 결정 되 어 있 어 야 하 며 , 장 애 인 구 분 모 집 직 렬 ( 직 류 ) 외 의 다 른 직 렬 ( 직 류 ) 에 도 비 장 애 인 과 동일한 조건으로 응시할 수 있습니다 . 3) 장애인 편의지원을 원하는 응시자는 “2020 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장애인 등 편의지원 제공 안내 【 별첨 4 】 ” 의 장애유형별 편의제공 기준 및 절차 , 증빙서류 등을 참조하여 원서 접수시 장애인 편의제공 신청화면에서 편의지원 항목을 체크하고 증빙서류를 정해진 기간 (2 회 시험 4. 6. ~ 4. 13, 3 회 시험 8. 3. ~ 8. 10.) 내 방문 또는 등기우편으로 신청하여야 합니다 . ※ 편의지원 내용 중 일부 (점자 문 제지 및 답 안지, 음성 지원 등) 가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바. 저소득층 구분모집 응시 대상자 1)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 에 따른 수급자 또는 「 한부모가족지원법 」 에 따른 보호 대상자에 해당하는 기간 ( 이 기간의 시작은 급여 또는 보호를 신청한 날로 봄 ) 이 응시원서 접수일 또는 접수마감일까지 계속하여 2 년 이상인 사람이어야 합니다 . 2) 군복무 ( 현역 , 대체복무 ) 또는 교환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하는 경우 , 이로 인하여 그 기간에 급여 ( 보호 )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에도 가 구 주 가 그 기 간 에 계 속 하 여 수 급 자 ( 보 호 대 상 자 ) 로 있 었 다 면 응 시 자 도 수 급 자 ( 보호대상자 ) 에 해당하는 것으로 봅니다 . (다만, 군복무 또는 교환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하는 기간 종료 후 다시 수급자 (보호대상자)로 결정되어야 기간의 계속성을 인정하며, 이 경우 급여(보호)의 신청을 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에 하거나, 급여(보호) 결정이 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여야 함) ※ 군복무 또는 교 환 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한 그 전·후 기간에 1인 가구 수급자(보호 대상자) 였 다면 군복무 또는 교 환 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한 기간 동안 수급자 또는 보호 대상자 자격을 계 속 유지하고 있 었 다고 봄 . [ 이 경우에도 군복무 또는 교 환 학생으로 해외에 체류하는 기간 종료 후 다시 수급자(보호대상자)로 결정되어야 기간의 계 속 성을 인정하며, 이 경우 급여(보호)의 신청을 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에 하거나, 급여(보호)의 결정이 기간 종료 후 2개월 내여야 함 ] ※ 단, 교 환 학생의 경우는 소 속 학교에서 교 환 학생으로서 해외에 체류한 기간(교 환 학생 시 작 시점 및 종료시점)에 대한 증빙 서류를 제출해야 함 3) 저 소 득 층 구 분 모 집 직 렬 ( 직 류 ) 외 의 다 른 직 렬 ( 직 류 ) 에 도 비 수 급 자 와 동 일 한 조건으로 응시할 수 있습니다 . 4) 저소득층 구분모집 응시자는 수급자 증명서 , 한부모가족증명서 , 사회보장급여통지서 ( 보호기간 명시 ) 등 증빙서류를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시 안내하는 기간 내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 - 12 - -----------------------------------------------------Page 12----------------------------------------------------- 사. 보훈청 추천 구분모집 1)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제 32 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 50 조 내지 제 51 조의 규정에 따라 지방보훈 ( 지 ) 청에서 추천하는 취업지원대상자만 응시 할 수 있습니다 . 2) 응시 희망자는 임용예정기관 관할 지방보훈 ( 지 ) 청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 경남동부보훈지청(관할 대상기관 : 도, 김 해 ☎ 055-981-5619 ~ 20), 경남서부보훈지청(관할 대상기관 : 진주 ☎ 055-760-2830) 3) 해당 보훈 ( 지 ) 청에서 추천한 응시자도 당 해 시 험 의 원 서 접 수 기 간 내 에 반 드 시 인터넷으로 응시원서를 접수 하여야 합니다 . 아. 응시자의 신체조건은 「공무원 채용신체검사 규정 」 에 의합니다 . 7. 응시원서접수 가. 접수방법 및 시간 1) 접수방법 : 자치단체 통합 인터넷원서접수센터 (http://local.gosi.go.kr) 에 접수 - 접수 및 취소 관련 문의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 ☎ 1522-0660 / 문의시간 09:00 ~ 18:00) - 구체적인 방법은 접수기간 중에 인터넷 응시원서 접수 사이트에서 단계별로 안내함 2) 접수시간 : 시작일 09:00 ~ 마감일 18:00 종료 ( 기간 중 24 시간 접수 ) 3) 응시수수료 등의 비용 : 응시수수료 (7 급 ․ 연구사 ․ 지도사 7,000 원 / 8 ․ 9 급 5,000 원 ) 외에 소정의 처리비용 ( 휴대폰 ․ 카드 결제 , 계좌이체비용 등 ) 이 소요됩니다 . ※ 응시원서 접수 당시「국 민 기 초 생 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또는 「한부모가 족 지원법」에 따른 보호대상자인 사람에 대해서는 응시수수료를 면제함 4) 응시원서 등록용 사진파일 (jpg) : 최근 3 개월 이내의 3.5cm × 4.5cm 크기이며 , 해상도는 100dpi 이상 , 용량은 100KB 미만 ( 얼굴 정면이 나 타 나는 증명사진 으로 식별이 용이 하여야 하며, 모자나 선 글 라 스 등을 착 용한 사 진 과 배경이 있는 사 진 등은 등 록 할 수 없습니다.) 나. 원서접수시 유의사항 1) 응시자는 인터넷 응시원서에 응시지역을 반드시 선택하여야 합니다 . 2) 응시원서 접수 시 기재한 응시지역별 ․ 직렬 ( 직류 ) 별로 합격자를 결정합니다 . 3) 9 급 고졸 ( 예정 ) 자 구분모집은 해당 학교장의 추천 , 보훈청 추천 ( 운전 ) 구분모집은 임용 예정기관 관할 지방보훈 ( 지 ) 청의 추천을 받은 사람만 응시원서를 접수할 수 있으며 , 정해진 기간 내에 인터넷으로 원서접수를 하지 않으면 응시자격이 없습니다. 4) 가산특전을 받고자 하는 응시자는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해당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 반드시 아래의 가산점 등록방법을 숙지 · 이행하여야 합니다 . - 13 - -----------------------------------------------------Page 13----------------------------------------------------- ▸ 가산점 등록 방법 ◂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서 가산점을 받고자 하는 자는 필기시험 시행일 전일까지 해당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반드시 필기시험 시행일을 포함한 5일 이내 [가산점 등록기간 : 제2회 (6.13.~6.17.), 제3회(10.17.~10.21.)] 에 자치단체 통합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local.gosi.go.kr)에 접속하여 가산비율을 확인하고 취업지원(또는 의사상자), 기술자격 ․ 면허증의 명칭과 증명번호 등을 입력하여야 합니다. ※ 잘못 입 력하여 생기는 불이 익 은 응시 자 본인 의 귀책 사유임 을 알려 드립 니 다. 특 히, 미등 록 (신청)한 경우에는 본인이 가산특전을 포기한 것 으로 간 주 처 리 됩니다. (필기시험 답 안지에는 가산점 표기란이 없습니다.) 5) 원서접수 기간 동안에는 기재사항 수정이 가능하나 종료 후에는 기재사항 수정 ( 변경 ) 이 불가능 합니다 . ☞ 원서접수 취소 기간 : 2 회 [4. 6.( 월 ) ~ 4. 13.( 월 )], 3 회 [8. 3.( 월 ) ~ 8. 10.( 월 )] 6) 원서접수 취소 기간 내 취소자에 한하여 응시수수료 등을 환불해 드립니다 . 7) 원서접수 시 응시자가 처리 단계별 절차에 의하여 입력한 후 최종확인 ( 응시수수료 결제 완료 ) 을 하여야 하며 , 접수 부주의로 인하여 시험에 응시할 수 없을 경우에는 응시자에게 모든 책임이 있습니다 . 8) 응시표는 응시원서 접수기간에는 출력이 되지 않으며 ( 접수증은 출력 가능 ), 별도 안내 하는 시험장소 공고일부터 응시표 출력이 가능 합니다 . ※ 원서접수 사이 트 (http://local.gosi.go.kr)에서 본인이 직접 출력(분실시 재출력 가능) 9) 자격요건 , 경력 , 가산특전 및 저소득층 등 시험응시에 필요한 증빙서류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시 안내하는 기간 내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 10) 경상남도인사위원회 및 경상남도에서 동일 날짜에 시행하는 임용시험에 중복으로 접수할 수 없습니다 . 11) 임신부 응시자는 원서접수 시 편의지원을 신청할 수 있으며 , 편의지원 기준 및 절차 , 증빙서류 등은 “2020 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장애인 등 편의지원 제공 안내 【 별첨 4 】 ” 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8. 장애인 및 저소득층 초과합격제 가. 적용대상 : 공개경쟁임용시험 중 장애인 및 저소득층 구분모집 나. 실시방법 : 일반모집 동일직류 시험단위의 합격선 이상 점수를 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당초 합격예정인원을 초과하여 합격처리할 수 있습니다 . ( 일반행정 , 지방세 , 전산 , 사회복지 , 일반농업 , 일반토목 직류만 해당 ) - 14 - -----------------------------------------------------Page 14----------------------------------------------------- 9. 양성평등 채용목표제 가. 대상시험 : 임용예정기관별 ․ 직류별로 선발예정 인원이 5 명 이상인 공개경쟁임용시험 ※ 기관별 선발예정 인원 5 명 미만과 경력경쟁임용시험은 적용되지 않음 나. 채용목표 : 30% ( 시험실시 단계별로 합격예정인원에 대한 채용목표 비율이며 , 인원수 계산 시 선발예정 인원이 5 명 이상 10 명 미만일 경우 소수점 이하는 적용 하지 않으며 , 10 명 이상인 경우에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합니다 .) 다. 실시방법 : 어느 한 성 ( 性 ) 의 합격자가 채용 목표 비율에 미달할 경우 , 하한 성적 이상인 해당 성 ( 性 ) 의 응시자 중에서 성적순에 의하여 당초의 합격 예정인원을 초과하여 추가 합격처리 합니다 . ( 하한성적 : 합격선 – 3 점 ) ※ 임용목표 인원에 미 달 하는 인원만 큼 해당 성( 性 )의 응시자를 추가 합격시 키 는 것 이 므 로 합격선에 든 다른 성( 性 )의 합격자가 탈락 되는 것 은 아니며, 기 타 자세한 사항은「지방공무원 균 형인사 운 영지 침 」(행정안전부 예규)에 따 릅 니다. 10. 가 산 특 전 가. 가산특전 대상자 및 가산점 비율표 구 분 가산비율 비 고 취업지원대상자 (연구·지도직 제외) 과목별 만점의 5% 또는 10% 의사상자 (6급 이하 신규임용시험) 과목별 만점의 3% 또는 5% 공통적용 가산점 과목별 만점의 0.5% 또는 1% 자격증 (전산직 제외) (1개의 자격증만 인정) ․ 취업지원대상자 가점과 의사상자 가점은 본인에게 유리한 것 하나만 적용 ․ 취업지원대상자(또는 의사상자) 가점과 자격증 소지자 가점은 각각 적용 ․ 일반직, 연구 ․ 지도직의 자격증 가점은 최대 6%까지 인정 (공통적용 가산 1개, 직렬별 가산 1개) 소지자 직렬별 가산점 (행정, 기술직 적용) 과목별 만점의 3% 또는 5% (1개의 자격증만 인정) ․ 가산특전은 매과목 40%이상 득점시 적용함 ․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나~마”참고 나. 취업지원 대상자 (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유효하게 등록되어야 함 ) 1) 「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 제 16 조 ,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제 29 조 , 「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 」 제 33 조 , 「 5 · 18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 제 20 조 , 「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 제 19 조에 의한 취업지원대상자 그리고 「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 제 7 조의 9 에 의한 고엽제후유의증 환자와 그 가족은 매 과목 40% 이상 득점한 자에 한하여 ,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 (10% 또는 5%) 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합니다 . 2) 취업지원대상자 가점을 받아 합격하는 사람은 모집단위별 ( 기관별 ․ 직급별 ․ 직류별 ) 로 선발예정 인원의 30% 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모집단위별로 선발예정인원이 3 명 이하인 경우 가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단, 응시인원이 선발예정인원과 같 거나 그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음) ※ 가점에 의한 선발인원 산정 시 소수점 이하는 버림 ※ 취업 지원대상자 여부와 가점 비율 (10 % 또는 5 % )은 본인이 사전에 직접 국가보훈처 ( ☎ 1577-0606) 또는 지방보훈(지)청 등에 확인하여야 합니다. 3) 보훈청 추천 구분모집 응시자는 선발예정인원에 관계없이 취업지원대상자 가산 특전이 적용됩니다 . - 15 - -----------------------------------------------------Page 15----------------------------------------------------- 다. 의사상자 대상자 (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유효하게 등록되어야 함 ) 1) 「 지방공무원법 」 제 34 조의 2 제 1 항 제 2 · 3 호에 따른 취업보호대상자 2) 「 의사상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제 13 조에 따른 취업보호대상자 중 각 과목 40% 이상 득점한 자에 한하여 ,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 (5% 또는 3%) 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합니다 . 3) 의사상자 가점을 받아 필기시험에 합격하는 사람은 모집단위별 ( 기관별 ․ 직급별 ․ 직류별 ) 로 선발예정인원의 10% 를 초과할 수 없음으로 모집단위별로 선발예정인원이 9 명 이하인 경우 가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 단 , 응시인원이 선발예정인원과 같거나 그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음 ) ※ 가점에 의한 선발인원 산정 시 소수점 이하는 버림 ※ 의 사 상 자 등 록 여 부 와 가 산 비 율 (5 % 또 는 3 % )은 본 인 이 사 전 에 직 접 보 건 복 지 부 ( ☎ 044-202-3258) 또는 시·군 관련부서에 확인하여야 합니다. ※ ‘ 나 ’ 항 과 ‘ 다 ’ 항 이 모 두 해 당 될 경 우 본 인 에 게 유 리 한 하 나 만 선 택 합 니 다. 라. 자격증 소지자 ( 필기시험시행 전일까지 유효한 자격증에 한함 ) 1) 공통적용 가산점 ( 전산직 제외 ) : 아래 표에 제시된 자격증 ( 통신 ․ 정보처리 및 사무 관리 분야 ) 을 소지한 응시자에게는 매 과목 40% 이상 득점자에 한하여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 ( 아래표에서 정한 가산비율 ) 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합니다 . 자격 분야 채용 직급 자격증 등급별 가산비율 통신 ․ 7급 연구사 지도사 정보관리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정보보안기사 1%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0.5% 정보 처리 분야 8 ․ 9급 정보관리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정보보안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 1%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사무 관리 분야 7 ․ 8 ․ 9급 연구사 지도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컴퓨터활용능력 2급 0.5% ※ 통신 정보처 리 분야 및 사무관 리 분야 자격 증 이 중복되는 경우, 본인에 게 유 리 한 하나의 자격 증 만 가산됩니다. ※ 폐지된 자격 증 으로서 국가기 술 자격법령 등에 의하여 그 자격이 계 속 인정되는 자격 증 은 가산대상 자격 증 으로 인정되며, 종전 법령에 따라 취득한 ‘ 워드프로세서’는 1급만 해당 됩니다. ※ 「지방공무원 임용령」개정으로 2021 년 부 터 공 통 적 용 가 산 점 은 폐 지 됩니다. - 16 - 정보처리기능사 0.5% 컴퓨터활용능력 1급 1% 워드프로세서, -----------------------------------------------------Page 16----------------------------------------------------- 2) 직 류 별 로 적 용 되 는 가 산 점 ① 행정직군 분야 : 다음 직류의 응시자가 직류별 해당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을 경우 , 각 과목만점의 40% 이상 득점자에 대하여 각 과목별 득점에 그 과목의 만점에 대한 5% 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합니다 . 직 렬 직 류 대 상 자 격 증 가산비율 행 정 일반행정 변호사, 변리사 사회복지 사회복지 변호사 5% 세 무 지 방 세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② 기술직군 분야 ( 연구 · 지도직 포함 ) : 국가기술자격법령 또는 그 밖의 법령에서 정한 자격증 소지자가 당해 분야에 응시할 경우 각 과목별 만점의 40% 이상 득점자에 대하여 필기시험의 각 과목별 득점에 그 과목의 만점에 대한 일정 비율 ( 아래 표에서 정한 가산비율 ) 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합니다 . ※ 해당분야의 자격 면 허증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경우, 가산점 적용 제외 7급, 연구사, 지도사 8·9급 구 분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술사, 기능장, 기사, 가산비율 5% 3% 5% 3% ※ 자격 증 가산점은 본인에 게 유 리 한 공통적용 가산자격 증 1개, 직류별 가산자격 증 1개에 대하여 각각 인정(최대 2개 인정)하되, 하나의 동일한 자격 증 이 ‘1)공통적용 가산대상’과 ‘2)직류별로 적용되는 가산대상’으로 중복되는 경우에는 본인에 게 유 리 한 분야 하나만 선택하여 가산합니다. ※ 채 용분야별 가산대상 자격 증 의 종류는 [ 별 첨3] 참조 마. 가산특전과 관련한 유의사항 1) 시 험 에 있 어 서 의 가 산 특 전 은 필 기 시 험 시 행 전 일 까 지 유 효 하 게 등 록 또 는 취 득 한 자격증에 한합니다 . 2) 취업지원 대상자 ( 또는 의사상자 ) 가산점 , 공통적용 가산점 , 직류별 가산점은 각각 가산됩니다 . 3) 폐지된 자격증으로서 국가기술자격법령 등에 의하여 그 자격이 계속 인정되는 자격증은 가산대상 자격증으로 인정합니다 . 4) 허 위 로 가 산 점 을 표 기 한 경 우 합 격 이 취 소 되 며 , 부 정 행 위 자 로 간 주 하 여 향 후 5 년 간 공 무 원 임 용 시 험 응 시 자 격 이 정 지 될 수 있 습 니 다 . 5) 「 국가기술자격법 」 에 따른 통신 정보처리분야 및 사무관리분야 공통 적용 가산점 은 「 지방공무원 임용령 」 개정으로 2021 년부터 폐지 됩니다 . - 17 - 산업기사 기능사 -----------------------------------------------------Page 17----------------------------------------------------- 11. 응시자 유의사항 가 . 응시원서상의 기재착오 또는 누락이나 연락불능 , 중복접수 , 자격미비자의 응시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응시자 본인의 책임으로 하며 , 제출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 나 . 응시자는 응시표 , 답안지 , 시험일시 및 장소 공고 등에서 정한 응시자 주의 사항에 유의하 여야 하며 , 이를 준 수하지 않아 발생 하는 불 이익은 응 시자 본인의 책임으로 합니다 . 다 . 공개경쟁임용 필기시험에서 과락 ( 각 과목 만점의 40% 미만 ) 이 있을 경우 불합격 처리되며 , 경력경쟁임용 필기시험에서 과락 ( 각 과목 만점의 40% 미만으로 득점 하거나 총점의 60% 미만 득점 ) 이 있을 경우 불합격 처리됩니다 . 그 밖의 합격자 결정 방법 등 시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 지방공무원 임용령 」 및 관계 법령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라 . 시험 실시 단계별 합격자 결정 ( 합격선 , 취업지원대상자 적용 , 양성평등채용목표제 적용 , 가산점 등 ) 은 임용예정기관별 ․ 직류별로 관련 법령에 따라 결정합니다 . 마 . 최종합격자는 임용예정 기관에 임용된 후 다른 자치단체로의 전출은 관련 법령에 의거 제한되므로 응시기관 ( 임용기관 )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공개경쟁임용시험(도 일괄 포함) 합격자는 임용일로부터 3년간, 경력경쟁임용시험 합격자는 4년간 전출이 제한됩니다. 바 . 시험장소 및 합격자 발표는 경상남도 홈페이지 시험정보란에 공고 ( 게시 ) 하고 , 개별통보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공고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사 . 최종합격자로 결정된 후에도 임용결격사유 , 「 공무원채용신체검사규정 」 에 의한 불합격 판정 등을 받을 경우 합격이 취소 될 수도 있습니다 . 아 . 본 시험 시행계획은 사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사항은 시험 실시 7 일전에 경상남도 홈페이지 도정소식 ( 시험정보란 ) 에 공고합니다 . 자 .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상남도 인사과 고시교육담당 ( ☎ 055-211-3521) 으로 문의바랍니다 . 12. 기 타 사 항 최종 합격자가 임용되는 것을 포기하는 등의 사정으로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 지방공무원 임용령 」 등 관련 법령에 따라 추가 합격자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붙임 1. 고졸 ( 예정 ) 자 경력경쟁임용시험 추천 현황표 등 . 2. 관련계통학과 증명서 및 추천서 . 3. 신규임용시험 가산대상 자격증 . 4. 2020 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장애인 등 편의지원 제공안내 . 5. 영어능력검정시험 및 한국사능력검성시험 대체 안내 . 끝 . - 18 - -----------------------------------------------------Page 18----------------------------------------------------- [별첨 1] 고졸(예정)자 경력경쟁임용시험 추천현황표 1. 학교명 : 2. 직렬별 추천 현황 직 렬 직 류 학교 내 지원자 수 최종 추천자 수 합 계 공 업 일반기계 일반전기 농 업 일반농업 시 설 일반토목 2. 추천자 현황 성명 응시 (생년월일 직렬 성적* 성별 졸업 (예정)일 성취평가제 미적용 평균석차비율 ( ) ( ) 성취평가제 적용 보통교과 평균석차등급 평균석차비율 전과목 성취도 전문교과 평균 B 이상 성취도 A 비율 성취평가제 미적용 평균석차비율 ( ) ( ) 성취평가제 적용 보통교과 평균석차등급 평균석차비율 전과목 성취도 전문교과 평균 B 이상 성취도 A 비율 * 보통교과의 경우 평균석차등급과 평균석차비율 중 한 개만 기재하여도 됨 * 응시직렬은 공업(일반기계, 일반전기), 농업(일반농업), 시설(일반토목) 중 택 1 기재 - 1 - ) ( 직 류) 전공학과 -----------------------------------------------------Page 19----------------------------------------------------- [별첨 1-1] 학 교 장 추 천 서 추천구분( ✓ ) □ 특성화고 □ 인문계 ⇒ 특성화고 전학 응시직급 9급 응시지역 응시직렬(직류) 명 (한자: ) 생년월일 출신학교 사 진 (6개월이내 촬영, 학력사항 소 재 지 학과(정원) 학과(정원 명) 졸업 여부 (졸업) 년 월/ (졸업예정) 년 월 성취평가제 미적용 석차비율 상위 %( 등/ 명) 반명함판) 학업성적 보통 평균 성취평가제 교과 석차등급 평균석차비율 상위 %( 등/ 명) 적용 전문 성취도 교과 평균B이상 주 소 해당 ( ) 미해당 ( ) 성취도 A 과목 비율 % 연 락 처 전화번호 핸드폰 e-mail o 위 사람은 2020년 도 제3회 경 력 경 쟁 임 용 시 험 시 행 계 획 공고문상의 선발직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과 의 졸업(예정)자임을 확인하며, o 「지방공무원법」 제27조 제2항 제8호 및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17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경력경쟁임용시험 대상자로 추천합니다. 년 월 일 ○○ 고등학교 교장 (인) 경상남도인사위원회위원장 귀하 ※ 추가 제출 서류 1. 성적증명서 ( 평균석차비율 또는 평균석차등급 등이 기재돼 있어야 함 ) 1 부 - 졸업자는 소속 학과에서의 全 학년 성적을 기준 - 졸업예정자는 소속 학과에서의 1~2 학년 성적을 기준 2. 졸업증명서 ( 졸업예정자는 졸업예정증명서나 재학증명서 등으로 대체 가능 ) 1 부 3. 생활기록부 사본 1 부 4. 대학제적증명서 ( 대학중퇴자에 한함 ) 1 부 5. 관련 학과 증명서 ( 관련 학과명이 다를 때 ) 1 부 ※ 응시직렬은 공업(일반기계, 일반전기), 농업(일반농업), 시설(일반토목) 중 택 1 기재 - 2 - 인적사항 성 -----------------------------------------------------Page 20----------------------------------------------------- [학교장 추천서 뒷면] 학교장 추천서(증명서) 발급 시 유의사항 ○ 추천서(증명서)를 발급하기 전에 2020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문 중 아래 응시 자격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고졸 ( 예정 ) 자 경력경쟁모집의 경우 학교장 추천대상자 자격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 공업 , 농업 , 시설 직렬 ( 직류 ) 과 관련된 학과를 이수한 사람으로 · 임 용예 정 직렬 과 관 련 되는 해당 학 과 여 부는 기술 직 공 무 원 임 용예 정 직렬 과 전 공 학과 대비 표 (* 아래표 참조 ) 와 직접 관련되는 학과로서 , 선발예정 직류별 해당학과는 ‘ 국가기술 자격 종목별 관련 학과 지정 고시 ( 고용노동부 고시 제 2012-49 호 ) [ 별표 2] 의 ’ 중 직무분야 - 관련학과 ‘ 의 학과 명칭을 기준으로 하되 , 이와 직접 관련되는 학과도 포함할 수 있음 . - 성취평가제 기준 · 전문교과 성취도가 평균 B 등급 이상이고 , 그 중 50% 이상의 과목에서 성취도가 A 이며 , 보통 교과의 평균 석차비율이 50% 이내이거나 평균 석차 등급이 4.5 이내인 자 - 성취평가제 기준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 졸업요건에 해당하는 학업과정 또는 학점을 이수 ․ 취득한 자로서 졸업 석차비율이 이수학과의 상위 50% 이내인 졸업 ( 예정 ) 자 - 성적합산 · ( 졸업자 ) 는 고등학교 全 학년 성적 , ( 졸업예정자 ) 는 고등학교 1~2 학년 성적을 기준으로 함 . * 고등학교재학 중 인문계고등학교에서 실업계고등학교로 전학한 경우 , 재학생은 2 학년 , 졸업생은 3 학년 관련학과 성적산출이 가능해야 하고 , 인문계고 재학당시 보통교과도 학과성적기준을 충족해야 함 - 응시자격 기준 · 특 성 화 고 · 마 이 스 터 고 의 졸 업 자 또 는 2021. 2 월 졸 업 예 정 자 (2020.1.1 이 전 기 술 계 고 등 학 교 를 졸업한 각급 대학 중퇴자도 포함 ) · 지역요건 : 학교 소재지가 경상남도 또는 응시자 거주지 요건 충족자 ( 하나의 요건만 충족하면 응시가능 ) - 기술직 공무원 임용예정직렬과 전공학과 대비표 시험명 직급 직 렬 직 류 선발 인원 관 련 학 과 경력 경쟁 제3회 임용 (10.17.) 9급 시험 기계, 자동차(자동차정비), 운전, 판금, 거제1, 고성1, 합천1 용접, 배관, 기관, 인쇄공업, 계량 일반전기 2 고성1, 거창1 전기, 전자, 원자, 통신, 물리 농업, 잠업, 연초, 제사, 원예, 특수재배, 남해1, 함양1 농예, 농업경영, 농기계 시 설 일반토목 2 김해2 토목(토목건설, 목공), 농업토목, 건축 (건축설비) ○ 임용 단계별 절차 시험 시행 계획 공고 추천서 접수 원서접수 필기시험 및 서류전형 면접시험 및 최종합격자 결정 도 홈페이지 ⇨ 해당 학교로부터 ⇨ 기 접 수 된 추 천 ⇨ 추 천 서, 증빙서류 대상자만을 대상으로 접수(교육청 경유) 원서접수 필기시험 합격자 대상으로 서류전형 ⇨ 학력검증 및 면접 시험 실시 ⇥ 최종합격자 발표 ○ 추천일정 신청 및 추천자 제출 기한 제출 기관 첨부서류 응시자 신청 2020.6.26.(금)까지 해당 학 교 응시자 추천 공문 2020.7.3.(금) 도 교육청 ·추천현황표 - [별첨1]서식 (창의인재과) ·추천서(사본) - [별첨1-1]서식 해당학교 ·추천현황표 ·추천서(원본) ·성적증명서 응시자 추천 서류 2020.7.3.(금) 경상남도 ·생활기록부(사본) ·졸업(예정)증명서 (인 사 과) ·제적증명서 ·관련학과증명서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동의서 도 교육청 일괄 취합 공문 2020.7.10.(금)까지 경상남도 ·추천공문 (창의인재과) (인 사 과) ·(총괄)추천 현황표 ○ 문의사항은 경상남도 인사과 고시교육담당(☏ 055-211-3521)으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3 - 공 업 일반기계 6 진주1, 통영1, 밀양1, 농 업 일반농업 5 통영1, 사천1, 밀양1, -----------------------------------------------------Page 21----------------------------------------------------- [별첨 1-2] 관련 학과 증명서 [고졸(예정)자용] 주소 성명 생년월일 학력 고등학교 학과 년도 □졸업, □재학 위 사람이 □ 졸업한 ( □ 재학하는 ) [ ] 고등학교의 [ ] 학과는 2020 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문 (경상남도인사위원회 공고 제2020-17호) 에 게재된 고졸 ( 예정 ) 자 경력경쟁 임용시험 [ ] 직렬 [ ] 직류의 관련학과인 [ ] 학과임을 증명합니다 . ※ 경상남도 지방직 고졸 ( 예정 ) 자 구분모집 관련학과 현황 시험명 직급 직 렬 직 류 선발인원 관 련 학 과 공 업 일반기계 6 진주1, 통영1, 밀양1, 기계, 자동차(자동차정비), 운전, 판금, 거제1, 고성1, 합천1 용접, 배관, 기관, 인쇄공업, 계량 경력 일반전기 2 고성1, 거창1 전기, 전자, 원자, 통신, 물리 경쟁 제3회 9급 임용 (10.17.) 농 업 일반농업 5 통영1, 사천1, 밀양1, 농업, 잠업, 연초, 제사, 원예, 특수재배, 시험 남해1, 함양1 농예, 농업경영, 농기계 시 설 일반토목 2 김해2 토목(토목건설, 목공), 농업토목, 건축 (건축설비) 담당 자 ( 직 ) 성 명 ( 서명 ) ※ 학교연락처 ( 전화 ) : 2020. . . ○ ○ 고등학교 교장 ( 직인 ) 경상남도인사위원회위원장 귀하 - 4 - -----------------------------------------------------Page 22----------------------------------------------------- [별첨 1-3]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동의서 경상남도인사위원회에서는 『 개인정보보호법 』 제 15 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귀하께서는 아래 내용을 자세히 읽어 보시고 , 모든 내용을 이해하신 후에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Ⅰ.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동의서 귀하께서 제공한 모든 정보는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하며 , 아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① 개인정보 수집항목 및 수집 ‧ 이용 목적 가 . 수집 및 이용 목적 -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관련 자격 ․ 면허 ․ 경력 등 조회 ․ 확인 ( 신원조사 ․ 신원조회 포함 ) 나 . 수집항목 - 성명 , 주민등록번호 , 주소 , 등록기준지 , 메일 , 전화번호 , 학력 ․ 경력사항 , 자격 ․ 면허 소지사항 ②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수집 ‧ 이용 동의일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③ 동의거부 관리 - 귀하께서는 본 안내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서 동의를 거부하실 권리가 있습니다 . 다만 , 귀하가 개인정보의 수집ㆍ이용에 동의를 거부하시는 경우에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본인은 위의 동의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였으며, 개인정보 수집, 이용하는 것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동의함 □ 동의안함 □ 2020 년 월 일 성명: (서명 또는 인) Ⅱ. 고유식별정보 처리 동의서 ※ 고유식별정보 :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운전면허번호, 외국인등록번호 ① 고유식별정보 수집 항목 및 수집 ‧ 이용 목적 가 . 수집 및 이용목적 -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관련 자격 ․ 면허 ․ 경력 등 조회 ․ 확인 ( 신원조사 ․ 신원조회 포함 ) 나 . 수집항목 - 주민등록번호 , 운전면허번호 , 자격번호 등 ②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수집 ‧ 이용 동의일로부터 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③ 동의거부 관리 - 귀하께서는 본 안내에 따른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서 동의를 거부하실 권리가 있습니다 . 다만 , 귀하가 개인정보의 수집ㆍ이용에 동의를 거부하시는 경우에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본인은 위의 동의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였으며, 고유식별정보 수집, 이용하는 것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동의함 □ 동의안함 □ 2020 년 월 일 성명: (서명 또는 인) -----------------------------------------------------Page 23----------------------------------------------------- [별첨 1-4]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 관련학과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49호] Ⅰ.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 관련학과 고시 1.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 관련학과는 별표 1 과 같다 . 2. 별표 1 의 관련학과에 포함되는 해당 직무분야별 학과는 별표 2 와 같다 . 3. 별표 1 및 별표 2 에 따른 관련학과에 포함되지 않은 학과라 하더라도 「 국 가기술자격법 」 제 23 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 29 조에 따른 수탁기관의 장이 당해 학 과의 교과과정 등을 분석하여 해당 종목에 대한 관련학과에 포함할 수 있다고 판 단하는 경우에는 이를 관련학과로 인정할 수 있다 . Ⅱ. 행정사항 1. 시행일 이 고시는 2013 년 1 월 1 일부터 시행한다 . 2. 종전 고시의 폐지 종전의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관련학과 지정 고시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11-51 호 , 2011. 12. 8) 는 이 고시 시행일부터 이를 폐지한다 . - 6 - -----------------------------------------------------Page 24----------------------------------------------------- [별표 1]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 관련학과 ( 발췌 )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국가기술자격종목 관 련 학 과 - 건축구조기술사, 건축기계설 비기술사, 건축시공기술사, 건축품질시험기술사 - 건축기사, 건축설비기사, 실 14 건설 141 건축 142 토목 143 조경 144 도시ㆍ교통 내건축기사 - 방수산업기사 - 건축산업기사, 건축목공산업 기사, 건축설비산업기사, 건 축일반시공산업기사, 실내건 축산업기사 - 농 어업토 목기술 사, 토목구 조 기 술사, 토질및기초기술사, 도로및공항기술사, 상하수도 기술사, 수자원개발기술사, 지적기술사, 지질및지반기술사, 철도기술사, 측량및지형공간 정보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토목품질시험기술사, 항만 및 해안기술사, 해양기술사 - 토목기사, 건설재료시험기사, 지적기사, 응용지질기사, 철도 보선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 보기사, 콘크리트기사, 항로 표지기사, 해양공학기사, 해양 자원개발기사, 해양환경기사 - 토목산업기사, 건설재료시험 산업기사, 잠수산업기사, 지 적산업기사, 철도보선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콘크리트산업기사, 항로표지 산업기사, 해양조사산업기사 - 조경기술사 - 조경기사 - 조경산업기사 - 교통기술사, 도시계획기술사 - 교통기사, 도시계획기사 - 02 경영ㆍ회계ㆍ사무 중 024 생산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08 문화ㆍ예술ㆍ디자인ㆍ방송 중 082 디자인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4 건설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5 광업자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6 기계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7 재료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8 화학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0 전기ㆍ전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4 농림어업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5 안전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6 환경ㆍ에너지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교통산업기사 145 건설 배관 - 배관산업기사 - 기계기술사 - 일반기계기사, 기계설계기사 16 기계 161 기계제작 - 컴 퓨터응 용가공 산업기 사, 기 계조립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치공구설계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 - 7 - -----------------------------------------------------Page 25-----------------------------------------------------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국가기술자격종목 관 련 학 과 - 건설기계기술사, 공조냉동기계기술사, 산업기계설비기술사 - 건 설 기 계 기 사, 건 설 기 계정비기사, 궤도장비정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설비보전기사, 승강기기사, 농업기계기사, 162 기계장비설 비ㆍ설치 163 철도 164 조선 165 항공 166 자동차 167 금형ㆍ공작 기계 201 전기 메카트로닉스기사 - 건설기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보일러산업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승강기산업기사, 전자부품장착산업기사, 농업기계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 철도차량기술사 - 철도차량기사 - 철도차량산업기사 - 조선기술사 - 조선기사 - 조선산업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항공기체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차량기술사 - 자동차정비기사 - 자동차정비산업기사 - 금형기술사 - 사출금형설계기사, 프레스금형설계기사 - 사출금형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전기응용기술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신호기사 - 전기산업기사, - 02 경영ㆍ회계ㆍ사무 중 024 생산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4 건설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6 기계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7 재료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8 화학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0 전기ㆍ전자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1 정보통신 중 212 방송무선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1 정보통신 중 213 통신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5 안전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6 환경ㆍ에너지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02 경영ㆍ회계ㆍ사무 중 024 생산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08 문화ㆍ예술ㆍ디자인ㆍ방송 중 083 방송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4 건설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20 전기ㆍ전자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 16 기계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7 재료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0 전기 ․ 전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202 전자 - 산업계측제어기술사, 전자응용기술사 - 임베디드기사 - 광 학 기 사, 반 도 체 설 계 기 사, 의공기사, 전자계산기기사, - 8 - - 21 정보통신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5 안전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6 환경ㆍ에너지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Page 26-----------------------------------------------------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국가기술자격종목 관 련 학 과 전자기사 - 광학기기산업기사, 반도체설계산업기사, 의공산업기사,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전자산업기사 - 농화학기술사, 시설원예기술사, 종자기술사 24 농림어업 241 농업 242 축산 243 임업 244 어업 - 시설원예기사, 유기농업기사, 종자기사, 화훼장식기사 - 유기농업산업기사, 종자산업기사 - 축산기술사 - 축산기사 - 축산산업기사 - 산림기술사 - 산림기사, 식물보호기사, 임산가공기사, 임업종묘기사 - 산림산업기사, 식물보호산업기사, 임산가공산업기사 - 수산양식기술사, 어로기술사 - 수산양식기사, 어업생산관리기사 - 수산양식산업기사, 어로산업기사 - 02 경영ㆍ회계ㆍ사무 중 024 생산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4 건설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15 광업자원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4 농림어업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5 안전관리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26 환경ㆍ에너지 중 261 환경 직무분야와 관련된 학과 - 9 - -----------------------------------------------------Page 27----------------------------------------------------- [별표 2] 직무분야별 학과 ( 발췌 )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가구디자인(과,전공,학과), 가구조형(과ㆍ전공), 가정관리학과, 가정주거 학과, 가족주거학전공, 건물관리과, 건설·건축계열, 건설·응용화학공학 계열, 건설·환경·화학공학과군, 건설계열, 건설계열건설전공, 건설계열 학과군, 건설공간디자인과, 건설공학(과,과군,학부,전공,계열), 건설공학 교육(과ㆍ전공), 건설관리계열, 건설관리시스템전공, 건설교통공학(계 열,과,부), 건설교통과, 건설교통정보과, 건설기계전공, 건설농업기계전 공, 건설도시공학(과,부,학부), 건설도시환경공학부, 건설디자인계열, 건설리모델링과, 건설산업과, 건설산업기계전공, 건설시공감리전공, 건 설시공전공, 건설시스템(과,공학과,공학부,전공), 건설안전(과,전공), 건 설안전시스템과, 건설재료공학과, 건설전공, 건설정보(계열,공학과,공학 부,과,전공), 건설정보도시건설과, 건설정보시스템전공, 건설조경디자인 전공, 건설지구환경공학부, 건설컨설팅전공, 건설토목과, 건설토목환경 공학과, 건설학과, 건설환경(계열,공학과,공학군,공학부,전공,과), 건설 환경건설공학부, 건설환경건축공학부, 건설환경설계전공, 건설환경시스 템(공학부,공학전공,과,학과), 건설환경정보과, 건설환경철도공학과, 건 축·인테리어디자인학과, 건축·토목·환경계열학과군, 건축·토목설계학부, 건축계열, 건축계획전공, 건축공간디자인계열, 건축공학(과ㆍ부ㆍ전공), 건축공학계열, 건축공학교육과, 건축공학리모델링전공, 건축공학ㆍ빌딩 시스템공학부, 건축공학ㆍ설비공학부, 건축과, 건축기계설비공학(과ㆍ 전공), 건축도시공학부, 건축도시조경학부, 건축도시토목공학계열, 건축 도시토목환경공학부, 건축디자인공학(과ㆍ전공ㆍ부ㆍ계열), 건축디자인 14 건설 141 건축 ㆍCAD전공, 건축리모델링(과,전공), 건축리모델링인테리어과, 건축메카 트로닉스공학과군, 건축물관리학과, 건축사회환경공학(과,부), 건축사회 환경시스템공학부, 건축산업학(과ㆍ전공), 건축생활디자인계열, 건축설 계/CAD전공, 건축설계공학(과ㆍ전공), 건축설계기술전공, 건축설비(공 학과,공학전공,과), 건축설비·기계공학부, 건축설비디자인과, 건축설비 설계학(과ㆍ전공), 건축설비소방과, 건축설비소방안전전공, 건축설비시 스템공학과, 건축설비자동화과, 건축설비학(과,전공), 건축설비환경과, 건축소방설비(학)(과ㆍ부ㆍ전공), 건축소방안전과, 건축소방행정학(과ㆍ 전공), 건축시공(과,전공), 건축시스템공학(과ㆍ전공ㆍ부ㆍ계열), 건축시 스템공학부, 건축시스템관리과, 건축실내건축학부, 건축실내디자인(과, 전공,학부), 건축ㆍ건설시스템공학부, 건축ㆍ도시공학과군, 건축ㆍ메카 트로닉스공학과군, 건축ㆍ실내디자인과, 건축ㆍ인테리어디자인과, 건축 ㆍ토목공학교육학과군, 건축ㆍ환경디자인학부, 건축안경환경학부, 건축 엔지니어링전공, 건축인테리어(계열,과,전공,학부), 건축인테리어리모델 링과, 건축장식과, 건축전기설비과, 건축전기시스템과, 건축조경토목공 학부, 건축조경학부, 건축조형계열, 건축조형예술계열, 건축컴퓨터공학 과군, 건축토목(계열,공학과군,학부,과), 건축토목도시공학부, 건축토목 조경학부, 건축토목환경(공학과군,학부), 건축토털디자인과, 건축학(과 ㆍ부ㆍ전공), 건축화학재료공학계열, 건축환경(과,학과,학부), 건축환경 디자인(과ㆍ학과ㆍ계열), 건축환경생명공학부, 건축환경설계과, 건축환 경설비(과,학과), 건축환경시스템(과,학부), 건축환경토목공학과군, 건축 환경화학공학군, 공간관리계열, 공간디자인(학부,전공,학과), 공간리모 - 10 - -----------------------------------------------------Page 28-----------------------------------------------------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델링과, 공간사회환경공학부, 공간시스템공학부, 공간연출과, 공간연출 디자인(과,전공), 공간예술과, 공간조형디자인전공, 공간조형학부, 공간 진단학부, 공간환경(전공,학부), 공간환경디자인전공, 공간환경시스템 (공학부,전공), 공연ㆍ영상무대디자인(과전ㆍ전공), 그린에너지설비(과 ㆍ전공), 그린인테리어과, 기계건축토목공학부, 기계공학건축학과군, 도 시건축공학부, 도시조경·건축디자인전공, 디지털건축디자인전공, 디지 털건축전공, 디지털디자인ㆍ건축학과, 디지털인테리어과, 리모델링(과, 건축과, 인테리어계열), 목조건축인테리어(과ㆍ전공), 빌딩설비디자인 과, 빌딩설비시스템(과,전공,코스), 산업건축학과, 산업토목(과,학과), 생활경영학과, 생활과학(과ㆍ전공ㆍ부), 생활과학산업(학)(과ㆍ전공), 생 활과학산업학(과ㆍ전공), 생활디자인(학)(과ㆍ전공), 생활복지주거학과, 생활주거복지학과, 생활환경복지학과, 설비(계열ㆍ과ㆍ전공), 설비디자 인(과ㆍ전공), 소방건설계열, 소비자아동주거학과, 소비자주거학과, 시 각디자인ㆍ실내디자인ㆍ애니메이션전공, 실내건축(학)(과,전공), 실내건 축공학전공, 실내건축디자인(과,학과,전공,계열), 실내공간인테리어과, 실내디자인(학)(과ㆍ전공ㆍ부), 실내디자인공학과, 실내리모델링인테리 어과, 실내인테리어과, 실내인테리어리모델링과, 실내장식과, 실내장식 디자인전공, 실내환경디자인(학)(과,전공), 실용건축과, 아동주거학전공, 웰빙건축학과, 인테리어(학)과, 인테리어·건설계열, 인테리어·건축계열, 인테리어·디스플레이과, 인테리어·리모텔링전공, 인테리어건축(과,전공), 인테리어건축토목(과,계열), 인테리어건축학전공, 인테리어리모델링(과, 전공), 인테리어산업디자인(과,전공), 인테리어재료공학과, 인테리어코 디네이션(과,부,전공), 인테리어패션디자인((학)과, 전공), 인텔리전트설 비계열, 재료환경건축공학(과,과군), 전산응용건축전공, 전통건축학(과, 부,전공), 제어계측건축설비공학부, 제품ㆍ실내디자인전공, 조명인테리 어(학)(과,전공), 주거·가족아동학(과·전공), 주거및실내계획전공, 주거실 내디자인학과, 주거ㆍ가족복지(과ㆍ전공), 주거ㆍ가족아동학(과ㆍ전공), 주거인테리어디자인학과, 주거학(과ㆍ전공), 주거환경(학과,전공), 주거 환경디자인전공, 주거환경소비자과, 주생활학(과·전공), 주택(전공,과), 지역건설공학(과,전공), 지역기반공학과(전공), 축조경토목공학부, 친환 경건축문화학(과ㆍ전공), 컴퓨터건축설계과, 컴퓨터응용건축과, 크루즈 해양ㆍ인테리어(과ㆍ전공), 테마파크디자인과, 토목·건축·도시정보공학 과군, 토목·건축·환경공학부, 토목건설과, 토목건설시스템과, 토목건축 공학(과,부), 토목건축측지공학과군, 토목건축환경공학과군, 토목환경건 축공학(과,과군), 토탈인테리어전공, 패션디자인·실내환경디자인학과군, 패션디자인주거환경디자인학과군, 한옥문화산업(과ㆍ학과ㆍ전공), 해양 건축공학과, 해양공간건축학부, 환경건설교통공학부, 환경건설정보학과 건설·건축계열, 건설·응용화학공학계열, 건설·환경·화학공학과군, 건설 계열, 건설계열건설전공, 건설계열학과군, 건설공간디자인과, 건설공학 (과,과군,학부,전공,계열), 건설공학교육(과ㆍ전공), 건설관리계열, 건설 관리시스템전공, 건설교통공학(계열,과,부), 건설교통과, 건설교통정보 과, 건설구조공학(과ㆍ전공), 건설기계전공, 건설농업기계전공, 건설도 142 토목 시공학(과,부,학부), 건설도시환경공학부, 건설디자인계열, 건설리모델 링과, 건설산업과, 건설산업기계전공, 건설시공감리전공, 건설시공전공, 건설시스템(과,공학과,공학부,전공), 건설시스템디자인공학(과ㆍ전공), 건설안전(과,전공), 건설안전시스템과, 건설재료공학과, 건설전공, 건설 정보(계열,공학과,공학부,과,전공), 건설정보도시건설과, 건설정보부사 관(과ㆍ전공), 건설정보시스템전공, 건설조경디자인전공, 건설지구환경 공학부, 건설컨설팅전공, 건설토목과, 건설토목환경공학과, 건설학과, - 11 - -----------------------------------------------------Page 29-----------------------------------------------------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건설행정(과·전공), 건설환경(계열,공학과,공학군,공학부,전공,과), 건설 환경건설공학부, 건설환경건축공학부, 건설환경관리(과,전공), 건설환경 디자인학(과,전공), 건설환경설계전공, 건설환경시스템(공학부,공학전 공,과,학과), 건설환경정보과, 건설환경철도공학과, 건축·토목·환경계열 학과군, 건축·토목설계학부, 건축도시토목공학계열, 건축도시토목환경 공학부, 건축ㆍ건설시스템공학부, 건축ㆍ도시공학과군, 건축ㆍ토목공학 교육학과군, 건축조경토목공학부, 건축토목(계열,공학과군,학부,과), 건 축토목도시공학부, 건축토목조경학부, 건축토목환경(공학과군,학부), 건 축환경생명공학부, 건축환경토목공학과군, 공간관리계열, 공간사회환경 공학부, 공간시스템공학부, 공간정보공학(과,전공), 공간정보시스템공학 (과ㆍ전공), 관광레저스포츠계열(경호전공), 관광레저스포츠계열(레저스 포츠전공), 관광레저스포츠계열(태권도전공), 구조공학과, 구조및지반전 공, 구조시스템공학(과,전공), 국방건설(과·전공), 국제자원개발학과, 기 계건축토목공학부, 기계선박해양공학부, 기계ㆍ해양시스템공학부, 기계 조선공학(과·전공), 기계해양시스템공학부, 기관(학)과(공학과ㆍ공학전공 ㆍ부ㆍ전공ㆍ, 기관공학해양생산학과군, 기술직공무원전공, 농업토목 (공학,과,전공), 도시개발학과, 도시건설(과,전공), 도시건설디자인계열, 도시건설환경공학과군, 도시계획공학과, 도시계획조경학부, 도시계획학 (과,부,전공), 도시공학(과,부,전공), 도시과학부, 도시및교통공학(과,전 공), 도시및부동산개발학전공, 도시및지역계획과, 도시및지역계획학(과, 전공), 도시및지역학부, 도시방재학(과,전공), 도시수도시스템(과ㆍ전 공), 도시시설관리공학(과ㆍ전공), 도시시스템공학과, 도시ㆍ교통공학전 공, 도시정보지적공학(과,전공), 도시조경과, 도시조경디자인과, 도시조 경학(과,부,과군), 도시지역계획학(과,전공), 도시지역과학부, 도시지적 공학(과,전공), 도시토목공학계열, 도시토목환경학(과ㆍ전공), 도시학과 군, 도시학부, 도시환경건설공학과군, 도시환경계획학전공, 도시환경공 학(과,부), 도시환경과, 도시환경디자인(학)과, 도시환경시스템전공, 도 시환경조경과, 물리지구해양과학학과군, 물리천문지구환경학부, 복지지 적학과, 복지토지정보학부, 부동산지적(과,학과), 사회환경시스템공(학 부,전공),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부,전공), 산림과학(과,부,전공), 산림 조경과, 산림환경시스템학(과ㆍ전공), 산업·재료·안전공학계열, 산업건 설학부, 산업건설환경공학부, 산업공학(과ㆍ전공), 산업공학ㆍ정밀기계 ㆍ토목공학과군, 산업시스템·지리정보공학부, 산업잠수학(과ㆍ전공), 산 업토목(과,학과), 생명자원수산해양학과군, 생물자원기계농촌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학과, 생물자원시스 템공학부, 생물자원학(부,전공), 생물자원환경학전공, 생물해양학부, 생 약자원(개발학과,전공,학과,학전공), 생약자원·농생물학전공군, 생태공학 (과,부,전공), 생활자원관리학(과,전공), 선박운항관리전공, 선박운항시 스템공학과, 선박전기전자전공, 선박해양공학(과,전공), 선박해양시스템 (과,전공), 선박해양정보과, 소방건설계열, 수산공학기관공학과군, 수산 공학동력시스템공학과, 수산공학ㆍ동력시스템공학과군, 수산자원개발 (학)(과ㆍ전공), 수산자원생물학전공, 수산해양생명과학과군, 수송기계 공학부, 수송기계공학전공(해양수송기계분야), 수송시스템공학부, 수자 원·환경해양생산학(과ㆍ전공), 수자원및환경전공, 시설물유지관리공학 (과ㆍ전공), 식량자원과, 식량자원식품가공학부, 식량자원학(과,부,전 공), 신에너지ㆍ자원공학(과ㆍ전공), 에너지ㆍ자원공학전공, 에너지자원 (과,공학과,전공), 역사교육지리교육사회교육학과군, 역사지리사회교육 (학)과군, 영양자원학(과,전공), 운항시스템공학부, 위성정보(과)공학과, 위성정보과학과, 응용생명자원공학전공, 응용생물자원과학(부,과군), 응 - 12 - -----------------------------------------------------Page 30-----------------------------------------------------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용지질학과, 인테리어·건설계열, 인테리어·건축계열, 인테리어건축토목 (과,계열), 자연자원학부, 자연자율전공학부, 자원·재료금속공학부, 자원 경제학과, 자원공과지구환경건설공학부, 자원공학(과,전공), 자원과학 부, 자원생명환경학부, 자원생물학과, 자원생물환경학(과,부), 자원에너 지공학과, 자원육성학전공, 자원환경공학(과,전공), 자원환경과, 조선공 학(과,전공), 조선과, 조선무기체계공학(과·전공), 조선및해양공학과, 조 선토목계열(과ㆍ전공), 조선해양공학(과,부,전공), 조선해양시스템공학 과, 조선해양시스템과, 지구과학(과,부,군,과군,전공), 지구과학교육(과 ㆍ전공), 지구물리학과, 지구시스템공학(과,전공), 지구시스템과학(과, 부,전공), 지구시스템ㆍ재료금속공학부, 지구정보공학(과,전공), 지구정 보과학과, 지구해양과학(과,전공), 지구환경(학)전공, 지구환경건설공학 부, 지구환경공학부, 지구환경과, 지구환경과학(과ㆍ부ㆍ전공ㆍ과군ㆍ 계열), 지구환경보전(과,전공),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부,전공,과군), 지구환경시스템학(과,부), 지리교육(과ㆍ학과ㆍ전공), 지리정보공학(과, 전공), 지리정보시스템공학전공, 지리정보토목과, 지리정보학전공, 지리 학(과,전공), 지반방재공학(과ㆍ전공), 지반설계정보공학과, 지역건설공 학(과,전공), 지역건설ㆍ바이오시스템공학과군, 지역건설환경공학(과,전 공), 지역기반건설공학전공, 지역기반공학과(전공), 지역사회개발·복지 학(과,전공), 지역생태시스템공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지역자원 시스템공학(과), 지역환경기반공학과, 지역환경시스템전공, 지역환경토 목전공, 지적(학)(과,전공), 지적공학과, 지적부동산과, 지적정보(학)과, 지적정보공학과, 지적지형정보시스템과, 지적토목과, 지질.지구물리학 과군, 지질공학(과,전공), 지질과학과, 지질ㆍ지구물리ㆍ환경과학과군, 지질학(과,전공), 지질해양학과군, 지질환경과학(과,전공), 지형공간정보 (과ㆍ전공), 지형정보과, 지형정보시스템과, 철도·토목계열, 철도건설(공 학)(과ㆍ전공), 철도건설환경공학과, 철도시설전공, 철도시설토목(과,전 공,계열), 철도토목(전공,학과), 철도행정토목((학)과, 전공), 측지공학 (과,부), 측지정보(과ㆍ전공), 컴퓨터응용토목과, 탐사공학(과,전공), 토 목(과ㆍ전공ㆍ계열), 토목·건축·도시정보공학과군, 토목·건축·환경공학 부, 토목·환경학부, 토목건설과, 토목건설시스템과, 토목건축공학(과, 부), 토목건축측지공학과군, 토목건축환경공학과군, 토목공학(과ㆍ부ㆍ 전공ㆍ군), 토목공학교육과, 토목도시(과,전공), 토목도시공학부, 토목 도시환경공학부, 토목디자인과, 토목및지리정보공학부, 토목산업공학 (과ㆍ전공), 토목설계(과,전공), 토목설계학(과·전공), 토목시공과, 토목 시공관리(과ㆍ전공), 토목시스템공학과, 토목신소재산업화학공학과군, 토목ㆍ도시디자인학부, 토목안전환경공학(과ㆍ전공), 토목정보과, 토목 조경(과,학부), 토목조선해양공학과군, 토목지구시스템신소재산업화학공 학과군, 토목해양공학부, 토목환경(과ㆍ전공ㆍ계열), 토목환경건축공학 (과,과군), 토목환경공학(과,부,전공,계열,과군), 토목환경도시공학(과, 부), 토목환경산업공학부, 토목환경설계전공, 토목환경시스템(과ㆍ전 공),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부), 토목환경조경학과군, 토목환경지구정 보공학부, 토지관리(과ㆍ전공ㆍ부ㆍ계열), 토지정보(관리)과, 토지행정 (학)과, 항공우주ㆍ선박해양공학과군, 항공조선공학부, 항공지리정보(과 ㆍ전공), 항공지형정보시스템과, 항만류시스템전공, 항만물류(학)(과, 부), 항만물류시스템전공, 항만물류자동화과, 항법시스템공학(전공,부), 항해학과, 해사경영과학전공, 해사수송과학(과,부), 해사안전환경전공, 해사위험관리전공, 해사정보공학전공, 해사정책관리전공, 해상보험전 공, 해상수송과학부, 해상운송시스템학부, 해안항만공학전공, 해양개발 공학부, 해양건설공학전공, 해양건축공학과, 해양계측공학과, 해양공간 - 13 - -----------------------------------------------------Page 31-----------------------------------------------------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건축학부, 해양공학(과,부,전공), 해양공학및조선공학과군, 해양과학(과, 부,전공), 해양레저장비학과, 해양미생물공학과, 해양및조선공학부, 해 양바이오전공, 해양발생공학전공, 해양분자생명공학전공, 해양산업공학 (부,전공), 해양산업과, 해양산업잠수((학)과,전공), 해양산업정책학부, 해양생명개발학과, 해양생명공학(과,부,전공), 해양생명과학(과,과군,부, 전공), 해양생명의학과, 해양생명환경학과, 해양생물공학(과,전공), 해 양생물이용학부, 해양생물자원개발과, 해양생물학(과,전공), 해양생산관 리학·동력시스템공학과군, 해양생산시스템(과,부,전공,공학과), 해양생산 학·기관공학부, 해양생산학기관공학과군, 해양생산학ㆍ동력기계시스템 공학부, 해양수산자원전공, 해양시스템(학과ㆍ부ㆍ전공ㆍ군ㆍ공학과ㆍ, 해양시스템과학전공, 해양시스템보전전공, 해양심층수학과, 해양안전시 스템공학전공, 해양에너지자원(과,공학과), 해양응용공학(과,군,부), 해 양자원과, 해양자원육성학(과,전공), 해양자원학(과,전공), 해양자원환경 과, 해양전자공학전공, 해양전자통신공학부, 해양정보과, 해양정보과학 과, 해양정보시스템학전공, 해양토목공학(과,전공), 해양학(과,전공), 해 양행정학과, 해양환경(학)(과ㆍ전공), 해양환경공학(과,전공), 해양환경 과학(과ㆍ전공), 해양환경사회기반공학연계전공, 해양환경생명과학부, 환경건설교통공학부, 환경건설정보학과, 환경공학및위성정보과학과군, 환경공학및해양시스템학과군, 환경대기및위성정보과학과군, 환경자원관 리전공, 환경지질과학(과,전공), 환경지질학과, 환경탐사공학과, 환경토 목(과ㆍ전공), 환경토목공학(과ㆍ전공ㆍ부ㆍ과군), 환경토목해양토목공 학(과ㆍ전공), GIS과, U-건설디자인계열, U-건설토목(과ㆍ전공) 건설조경디자인전공, 건축조경학부, 건축토목조경학부, 건축환경디자인 (과ㆍ학과ㆍ계열), 골프코스관리과, 골프코스원예학부, 과수경영(과·전 공), 관광·레저개발학(과·전공), 관광레저학(과ㆍ전공), 관광조경(과,학 과), 관상원예(과,학과,학전공), 낙농한우경영(과ㆍ전공), 녹지조경(학) 과, 도시계획조경학부, 도시원예(과,전공), 도시원예조경과, 도시원예학 전공, 도시조경·건축디자인전공, 도시조경과, 도시조경디자인과, 도시조 경학(과,부,과군), 도시환경디자인(학)과, 도시환경조경과, 동물자원·조 경학과군, 레저원예조경과, 부동산·환경조경학부, 부동산환경조경학부, 산림경영(과,학전공), 산림경영·조경학부, 산림생명자원과, 산림자원 (학)(과ㆍ부ㆍ전공), 산림자원보호(전공,학과), 산림자원조경학(부,과군), 산림자원환경학(과,전공), 산림조경과, 산림학(과,전공), 산림환경과학 (과,전공), 산림환경자원(학)(과ㆍ전공), 산림환경학전공, 삼림경영학과, 삼림자원보호학과, 생명자원(과,학과,과학부), 생명자원경제학(과,전공), 143 조경 생명자원공학부, 생명자원과학학과군, 생명자원산업(학)(과ㆍ전공), 생 명자원학부(동물자원학전공), 생명자원학전공, 생명자원환경과학(부,전 공,군), 생명환경학부, 생명환경화공과, 생물자원경영학전공, 생물자원 공학(과,부,전공), 생물자원과학(과,계열,부,전공), 생태ㆍ해충방제전공, 생태조경학과, 식물자원개발과, 식물자원과학(과,부,전공), 식물자원ㆍ 연초학(과)군, 식물자원ㆍ특용식물학과군, 식물자원원예학과군, 식물자 원응용공학전공, 식물자원학(과,부,전공), 식물자원환경(전공,학부), 양 돈양계경영(과ㆍ전공), 예술조경(과·전공), 원예(학)(과ㆍ전공), 원예.자 원생물환경화학과군, 원예·조경학부(조경학전공), 원예생명조경학(과ㆍ 전공), 원예조경(과,전공), 원예조경삼림자원학부, 원예조경학(부,전공), 원예환경(전공,학부), 원예환경조경학과군, 유기농생태(학)(과ㆍ전공), 임산공업과, 임산공학(과,전공), 임산학과, 임학(과,전공), 임학·임산공 학과군, 자원식물(학)(과,전공), 자원식물개발(학)(과,전공), 전통조경학 과, 조경(학)(과ㆍ전공),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조경공학과, 조경도시 - 14 - -----------------------------------------------------Page 32-----------------------------------------------------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디자인학과, 조경디자인학전공, 조경원예과, 조경인테리어과, 채소경영 (과ㆍ전공), 축산식품경영(과ㆍ전공), 토목환경조경학과군, 화훼경영(과 ㆍ전공), 화훼조경디자인과, 환경그린디자인학(과ㆍ전공), 환경디자인 (과,전공), 환경디자인(학)(과,전공), 환경디자인공학부, 환경원예조경학 부, 환경정보(과,계열,전공,학부), 환경정보디자인계열, 환경정보시스템 (학)과, 환경조경(학)(과,전공), 환경조경디자인과, 환경조경ㆍ식물산업 학부, 환경조형(과,계열), 환경코디네이션ㆍ동물과학계열, NGO환경조경 (과ㆍ전공) 건설교통공학(계열,과,부), 건설교통과, 건설교통정보과, 건설도시공학 (과,부,학부), 건설도시환경공학부, 건설정보(계열,공학과,공학부,과,전 공), 건설정보도시건설과, 건설환경건축공학부, 건축도시공학부, 건축도 시공학부, 건축도시조경학부, 건축도시토목공학계열, 건축도시토목환경 공학부, 건축ㆍ도시공학과군, 관광개발(전공,학과), 관광도시계획학(과 ㆍ전공), 교통개발(과ㆍ전공), 교통공학(과,전공), 교통물류시스템(학과, 공학부), 교통물류정보과, 교통시스템공학전공, 교통시스템전공, 교통융 합(과ㆍ전공), 교통정보시스템전공, 교통학과, 국토도시계획학(과ㆍ전 공), 금융부동산학부, 도시개발학과, 도시건설(과,전공), 도시건설디자 인계열, 도시건설환경공학과군, 도시건축공학부, 도시계획공학과, 도시 계획부동산학과, 도시계획정보과, 도시계획조경학부, 도시계획학(과,부, 전공), 도시공학(과,부,전공), 도시과학부, 도시관광계획(학)과, 도시디 자인(계열,학과), 도시및교통공학(과,전공), 도시및부동산개발학전공, 도 시및지역개발학(과,전공), 도시및지역계획과, 도시및지역계획학(과,전 공), 도시및지역학부, 도시방재학(과,전공), 도시부동산개발학과, 도시 부동산학(과,전공), 도시수도시스템(과ㆍ전공), 도시시스템공학과, 도시 ㆍ교통공학전공, 도시정보공학과, 도시정보지적공학(과,전공), 도시지역 계획학(과,전공), 도시지역과학부, 도시지적공학(과,전공), 도시토목공학 계열, 도시학과군, 도시학부, 도시행정(학)(과,전공), 도시환경건설공학 과군, 도시환경계획학전공, 도시환경공학(과,부), 도시환경과, 도시환경 144 도시ㆍ교통 디자인(학)과, 도시환경시스템전공, 도시환경조경과, 리조트개발학과, 물류교통(학)(과·전공), 부동산(학)(과ㆍ부ㆍ전공), 부동산·금융학부, 부 동산·세무학부, 부동산개발(과,전공,학과), 부동산개발투자전공, 부동산 건설개발학과, 부동산경매중개전공, 부동산경영(과,전공), 부동산경영정 보공학과, 부동산경영정보전공, 부동산경영컨설팅과, 부동산경제(학)과, 부동산관리정보전공, 부동산관리학과, 부동산금융학과, 부동산법무전 공, 부동산세무경영학(과,전공), 부동산세무과, 부동산세무컨설팅, 부동 산자산경영(학과,전공), 부동산자산관리전공, 부동산재테크(과,전공), 부 동산정보과, 부동산정보부동산정보과, 부동산지적(과,학과), 부동산컨설 팅(과,전공,학과), 부동산컨설팅주택관리과, 부동산행정학과, 사회기반 공학전공,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사회환경건축공학부, 생태도시계획학 (과,전공), 인간생활환경학과, 지역개발과, 지역개발신문방송학부, 지역 개발정보화학과, 지역개발학(과,부,전공), 지역계획학과, 지역기반건설 공학전공, 지역및복지행정학(과ㆍ전공), 지역및복지행정학전공, 지역사 회개발·복지학(과,전공), 지역사회개발산업정보학과군, 지역사회개발학 (과,부,전공), 지역사회과학(과ㆍ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지역자원시 스템공학(과), 지역정보학(과,전공), 지역학(과,부,과군), 철도경영(과,학 부), 철도경영학(과,전공), 토목·건축·도시정보공학과군, 토목도시(과,전 공), 토목도시공학부, 토목도시환경공학부, 토목ㆍ도시디자인학부, 토목 환경도시공학(과,부), 항공교통관리학과, 항공교통물류학부, 항공교통학 (과,전공), 항공물류학부(물류관리전공), 행정도시계획학부, 행정부동산 - 15 - -----------------------------------------------------Page 33-----------------------------------------------------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학과군, 행정ㆍ도시행정학부, 환경건설교통공학부, 환경도시공학부, 환 경방재시스템(과,학과,전공,학전공), GIS과 3D모델링/설계전공, 국방과학기술학(과ㆍ전공), 국방기술학부, 기계.정 밀기계.기계설계.자동차공학과군, 기계·기계설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군, 기계·산업정보공학부, 기계·정밀기계·자동차공학부, 기계건축토목공학 부, 기계공학(계열ㆍ과ㆍ부ㆍ전공), 기계공학(과ㆍ전공ㆍ부ㆍ계열), 기 계공학건축학과군, 기계공학교육과, 기계공학기계설계학과군, 기계교육 과, 기계디자인과,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ㆍ전공), 기계및산업공학부, 기계및제어공학과, 기계산업계열, 기계산업공학(계열,부), 기계설계(공 학과,공학전공,과,전공,학과), 기계설계시스템정보과, 기계설계자동화공 학부, 기계설계학전공, 기계소재.설계생산공학전공, 기계소재공학(과, 부), 기계시스템공학(과·전공),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부,전공,공학과), 기계식품화학공학부, 기계ㆍ정보산업공학부, 기계의용공학(과ㆍ전공), 기계재료과, 기계재료식품공학과군, 기계정보경영공학부, 기계정보공학 (과,부), 기계제조공학(과ㆍ전공), 기계컴퓨터공학과군, 기계CAD전공, 기술ㆍ가정전공, 나노전자기계공학(과ㆍ전공), 동력기계공학과, 동력기 계과, 동력기계시스템공학과, 동력기계시스템과, 디지털메카트로닉스 (과ㆍ전공), 로봇ㆍ메카트로닉스전공, 무기ㆍ기계공학(과ㆍ전공), 바이 오메디컬공학부, 박용기계공학(과ㆍ전공), 반도체기계공학(과·전공), 산 업공기계공학부, 산업공학(과ㆍ전공), 산업공학ㆍ정밀기계ㆍ토목공학과 군, 산업공학정밀기계과, 생물산업공학(과,부), 생물산업기계(학)(과ㆍ전 공), 생물산업기계공학(과,전공), 생산CAD전공, 생산CAM전공, 섬유기 계전공, 시계ㆍ정보기계설계전공, 시스템디자인전공, 신소재기계공학 161 기계제작 부, 엔지니어링디자인전공, 원자력및에너지공학(부ㆍ과ㆍ전공), 의료기 계(과ㆍ전공), 일반기계설계전공, 자동차플랜트산업(과ㆍ전공), 자동화 16 기계 기계설계과, 자동화설계전공, 전산응용가공전공, 전산응용기계설계학 과, 전산응용기계학과, 전자·전자계산·기계공학과군, 전자기계공학부, 정밀기계(과ㆍ전공), 정밀기계.기계설계.자동차공학과군, 정밀기계공학 (과,전공), 정밀기계공학토목공학과군, 정밀기계설계과, 정밀기계시스템 과, 정밀기술공학전공, 제품설계전공, 지상무기학(과ㆍ전공), 첨단기계 (과ㆍ전공), 첨단기계설계(과·전공), 치공구설계학과, 캐드그래픽스과, 컴퓨터기계설계(과,전공,부), 컴퓨터응용가공전공, 컴퓨터응용개발과, 컴퓨터응용공학부, 컴퓨터응용과학(과,부,과군), 컴퓨터응용기계(과ㆍ부 ㆍ전공ㆍ계열ㆍ공학과), 컴퓨터응용기계디자인과, 컴퓨터응용기계설계 (과,학과,학부,전공,공학과), 컴퓨터응용기계설계공학과, 컴퓨터응용설 계(과,전공,공학과,학전공,계열), 컴퓨터응용엔지니어링(과ㆍ전공), 컴퓨 터응용전공, 컴퓨터응용학(부,과군), 컴퓨터정보기계과, 품질경영(과,전 공), 하이브리드공학(과ㆍ전공), 해양레저장비학(과ㆍ전공), 해양시스템 (학과ㆍ부ㆍ전공ㆍ군ㆍ공학과ㆍ, 화공생명공학ㆍ기계공학계열, 화학공 학기계공학계열, 화학생명공학ㆍ기계공학계열, 환경/화공·기계·산업/정 보시스템공학과군, 환경/화공·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군, 환경화학섬유전 기기계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군, CAD, 모델링(과ㆍ전공), CAD/그래픽 스전공, CAD/제품디자인(과·전공), CAD/CAM전공, CAD·기계설계과, CAD·CAM기계설계과, CAD그래픽스과, CAD디자인전공, CAD응용시스 템전공, CAD정보처리전공, CAM엔지니어링(과ㆍ전공), e-엔지니어링전 공, IT응용전공, MECHANICALDESIGN전공, MSDE(프로그램ㆍ전공) 162 기계장비 설비ㆍ설치 가스냉동(과ㆍ전공), 건설기계전공, 건설농업기계전공, 건설산업기계전 공, 건축기계설비공학(과ㆍ전공), 건축메카트로닉스공학과군, 건축물관 리학과, 건축설비(공학과,공학전공,과), 건축설비·기계공학부, 건축설비 - 16 - -----------------------------------------------------Page 34-----------------------------------------------------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디자인과, 건축설비설계학(과ㆍ전공), 건축설비소방과, 건축설비소방안 전전공, 건축설비시스템공학과, 건축설비자동화과, 건축설비학(과,전 공), 건축설비환경과, 건축소방설비(학)(과ㆍ부ㆍ전공), 건축ㆍ메카트로 닉스공학과군, 공단유지보수전공, 공장자동화과, 공조기계(과ㆍ전공), 공조냉동(과,학과), 공조냉동에너지시스템전공, 광전기제어신소재공학 부, 광통신설비과, 국방물자과, 국방특수기술과, 그린에너지설비(과ㆍ전 공), 기계·자동화시스템계열, 기계냉동자동차공학부, 기계메카트로닉스 공학부, 기계및시스템공학부, 기계산업시스템(계열,공학부), 기계설계생 산자동화공학전공, 기계설비과, 기계설비관리전공, 기계설비소방안전 과, 기계섬유신소재공학군, 기계시스템(계열,공학과,공학전공,공학부, 과,부), 기계시스템전공, 기계ㆍ해양시스템공학부, 기계에너지생산공학 부, 기계에너지시스템공학부, 기계원자력공학부, 기계자동제어공학부, 기계자동화(계열,공학부), 기계자동화정보계열, 기계재료식품공학과군, 기계전기계열, 기계전기제어과, 기계전자(공학부,과), 기계제어공학부, 기계제어시스템공학부, 기계해양시스템공학부, 나노과학기술학(과,부),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전공), 나노시스템공정공학(과·전공), 나노융합 공학(과,전공), 나노측정과, 나노테크놀로지전공, 냉난방공조제어과, 냉 동공조·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냉동공조공학(과,전공), 냉동공조과, 냉 동공조설비(과ㆍ전공), 냉동공학(과,전공), 냉동공학전기및반도체공학과 군, 녹색산업설비((학)과,전공), 농공농업기계공학(부,과군), 농공ㆍ농기 계공학과군, 농업기계(학과,전공), 농업기계공학(과,전공), 동력기계시스 템공학과, 동력기계시스템과, 동력시스템공학(과,전공), 동물자원산업기 계공학부, 디지털기계학부, 디지털모터과, 디지털설계전공, 디지털시스 템동력시스템공학(과ㆍ전공), 디지털자동화정보계열, 디지털자동화학과, 로보테크과, 로봇공학(과ㆍ전공), 로봇디자인전공, 로봇시스템공학과, 로봇자동화(과ㆍ전공), 로봇제어(과,전공), 마이크로로봇과, 메카트로닉 스·자동화정보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과,군,부,전공,협동과,계열정 보학부), 바이오메카트로닉스전공,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바이오시스 템공학(과,전공), 방송통신설비과, 빌딩설비디자인과, 빌딩설비시스템 (과,전공,코스), 빌딩자동화과, 산업공학(과ㆍ전공), 산업공학ㆍ정밀기계 ㆍ토목공학과군, 산업공학정밀기계과, 산업기계공학과, 산업기계시스템 공학전공, 산업기계정비학과, 산업및기계시스템공학부, 산업설비자동화 과, 산업설비제어과, 산업설비학과, 산업시스템·기계공학부, 산업시스템 공학전공, 산업시스템설계과, 산업자동화공학과, 생물산업기계(학)(과ㆍ 전공), 생물산업기계공학(과,전공), 생물자원기계농촌공학과군, 생물자 원기계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학과, 생산기계(공학과,과,전공), 생산시스템전공, 생산자 동화시스템(학)(과ㆍ전공), 생산자동화전공, 선박해양·기계(과,전공), 설 비(계열ㆍ과ㆍ전공), 소방안전시스템전공, 승강기기계설계(과ㆍ전공), 승강기메카트로닉스(과ㆍ전공), 승강기보수(과ㆍ전공), 승강기시스템관 리학(과,전공), 승강기안전관리(과ㆍ전공), 승강기전기설계(과ㆍ전공), 시스템공학선박기계공학과, 시스템설계전공, 시스템안전설계계열, 시스 템제어(공학)(과,전공,부), 시스템제어(공학)(과ㆍ전공ㆍ부), 시스템제어 정비과, 식품공학·농업기계공학과군, 실내환경시스템(과ㆍ전공), 열기계 학과, 열냉동과, 열냉동관리과, 열처리과, 응용기계공학과군, 응용기계 및산업공학과군, 의용메카트로닉스(과,전공), 인터넷전자정보(전공,계 열), 인텔리전트설비계열, 자동제어학과, 자동화(과ㆍ전공ㆍ계열), 자동 화공학과, 자동화기계공학과, 자동화기계과, 자동화로봇(과,전공), 자동 화설비학과, 자동화시스템(과,전공,코스), 자동화시스템공학과, 자동화 - 17 - -----------------------------------------------------Page 35-----------------------------------------------------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전기과, 자동화정보공학부, 전기·전자·정보통신·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 기기계공학과, 전기기기제어전공, 전기설비자동화전공, 전기시스템(과, 전공), 전기시스템공학과, 전기시스템디자인과, 전기시스템제어전공, 전 기ㆍ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자동화과, 전기전자기계과, 전기전자및자 동화공학부, 전기전자ㆍ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자동화정보계열, 전기제어공학(과,부,전공), 전기제어과, 전기제어생체공학부, 전기제어 시스템과, 전자·전기·제어공학전공, 전자전기제어공학과, 전자정보통신 (과,전공,계열),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ㆍ과ㆍ전공), 정밀기계(과ㆍ 전공), 정보기계공학전공, 정보메카트로닉스전공, 정보자동화공학부, 정 보통신기계과, 제어계측(과,학과,전공), 제어계측공학(과ㆍ전공), 제어자 동화공학(과·전공), 지능기계공학전공, 컴퓨터로봇공학과, 컴퓨터시스템 기계과, 컴퓨터응용자동화과, 컴퓨터응용전기시스템과, 컴퓨터응용전기 전자과, 컴퓨터응용제어(공학과,과,전공), 컴퓨터자동화기계과, 컴퓨터 자동화설계과, 컴퓨터자동화시스템과, 컴퓨터전기시스템과, 컴퓨터전기 자동화과, 특수건설장비전공, 특수장비과, 특수장비ㆍ통신계열, 플랜트 설계과, 플랜트설비자동화과, 함정기관학(과,전공), 함정특수장비과, 화 학생명공학ㆍ기계공학계열, 환경설비공학과, LCD반도체시스템(과ㆍ전 공) 고속전기철도과, 그린산업기술(과ㆍ전공), 철도·토목계열, 철도기관사 (과ㆍ전공), 철도기술전공, 철도운송시스템공학전공, 철도운전기전(과ㆍ 163 철도 164 조선 전공), 철도운전제어학과, 철도전기(과,전공), 철도전기·정보통신학부, 철도전기제어과, 철도전자과, 철도차량기계과, 철도차량시스템학(과ㆍ 전공), 철도차량운전과, 철도차량전기과, 철도차량정비(과ㆍ전공), 철도 차량학과 그린산업기술(과ㆍ전공), 기계선박항공계열학과군, 기계선박해양공학부, 기계조선공학(과·전공), 기계조선설계((학)과,전공), 기관(학)과(공학과ㆍ 공학전공ㆍ부ㆍ전공ㆍ, 기관공학해양생산학과군, 기관시스템공(과,학과, 학부), 동력시스템공학(과,전공), 선박건조(과ㆍ전공), 선박공학(과ㆍ전 공), 선박기계공학(과ㆍ전공), 선박기계ㆍ에너지시스템(과ㆍ전공), 선박 냉동공조공학(과ㆍ전공), 선박냉동공학전공, 선박설계전공, 선박시스템 제어전공, 선박에너지시스템공학(과ㆍ전공), 선박운항관리전공, 선박운 항시스템공학과, 선박전기전자전공, 선박전자기계공학부, 선박해양공학 (과,전공), 선박해양시스템(과,전공), 선박해양정보과, 수산공학기관공학 과군, 수산공학동력시스템공학과, 수산공학ㆍ동력시스템공학과군, 수송 기계공학부, 수송기계공학전공(해양수송기계분야), 수송시스템공학부, 수해양산업교육과, 양식공학전공, 어업(학)과, 어업공학전공, 운항시스 템공학부, 조선/선박시운전(과ㆍ전공), 조선공학(과,전공), 조선과, 조선 기계과, 조선메카트로닉스(과ㆍ전공), 조선무기체계공학(과·전공), 조선 및해양공학과, 조선생산관리(과ㆍ전공), 조선선체의장((학)과,전공), 조 선설계(과ㆍ전공), 조선전기제어((학)과,전공), 조선정보기술계열, 조선 토목계열(과ㆍ전공), 조선플랜트(과ㆍ전공), 조선해양공학(과,부,전공), 조선해양기계(과ㆍ전공), 조선해양설계(과ㆍ전공), 조선해양설비((학)과, 전공),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조선해양시스템과, 조선해양플랜트(과ㆍ 전공), 주문식특약학부(조선플랜트기술전공), 토목조선해양공학과군, 항 공ㆍ조선공학부, 항공우주ㆍ선박해양공학과군, 항공조선공학부, 항법시 스템공학(전공,부), 해사수송과학(과,부), 해상수송과학부, 해상운송시스 템학부, 해안항만공학전공, 해양개발공학부, 해양경찰(전공,학과,학전 공), 해양경찰기관학과정, 해양공학(과,부,전공), 해양공학및조선공학과 군, 해양과학(과,부,전공), 해양및조선공학부, 해양생산관리학·동력시스 - 18 - -----------------------------------------------------Page 36-----------------------------------------------------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템공학과군, 해양생산학·기관공학부, 해양생산학기관공학과군, 해양생 산학ㆍ동력기계시스템공학부 기계선박항공계열학과군, 기계설계항공우주공학과군, 기계항공(공학부, 전공), 기계항공시스템공학부, 기계항공우주공학(부,전공), 기계항공자 동화공학부, 수송기계공학전공(항공,자동차,기계분야), 우주항공공학 (과,전공), 우주항공전공, 전자및항공전자공학전공, 항공(과ㆍ전공), 항 공계열, 항공교통관리학과, 항공교통물류학부, 항공교통학(과,전공), 항 공기계(학)과, 항공기계공학(과,전공,부), 항공기계산업공학부, 항공기계 설계학부, 항공기시스템공학전공, 항공기전레포츠과, 항공메카트로닉스 165 항공 166 자동차 167 금형ㆍ공작 기계 20 전기ㆍ전자 201 전기 (과ㆍ전공), 항공ㆍ조선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전공), 항공우주및기계 공학부, 항공우주ㆍ선박해양공학과군, 항공우주자동화공학과군, 항공우 주정보시스템공학(과ㆍ전공), 항공운항학과, 항공자동차정비(학)과, 항 공재료공학과, 항공전기과, 항공전기전자(과ㆍ전공), 항공전기제어과, 항공전자공학과, 항공전자과, 항공전자및정보통신공학부, 항공전자시뮬 레이션학과, 항공정보통신과, 항공정비(과,공학과), 항공조선공학부, 항 공조종전공(경비행기), 항공지형정보시스템과, 항공통신정보공학과, 헬 기정비과 기계·자동차공학부, 기계자동차(계열,공학과,학과군,학부,학전공,과), 기 계자동차디자인학부, 기계자동차산업계열, 기계자동차설계학과, 기계차 량공학과, 모터스포츠전공, 자동차(학)(과ㆍ전공ㆍ부), 자동차개발전공, 자동차검사전공, 자동차경영관리전공, 자동차공학(과ㆍ부ㆍ전공ㆍ계열), 자동차관리학과, 자동차금형기술전공, 자동차기계(과,전공,학부,계열), 자동차기계공학(부,전공), 자동차기계디자인과, 자동차기계설계전공, 자 동차기계전자공학부, 자동차기술과, 자동차디자인(학과,전공), 자동차디 자인테크(과ㆍ전공), 자동차디지털튜닝(과ㆍ전공), 자동차레저문화계열, 자동차매니저과, 자동차메카트로닉스전공, 자동차사무관리과, 자동차산 업공학부, 자동차산업기계공학부, 자동차생산공학전공, 자동차서비스 (과,전공), 자동차소방계열, 자동차시스템설계과, 자동차시스템전공, 자 동차시험(과,전공), 자동차ㆍ모터스포츠(과ㆍ전공ㆍ부), 자동차ㆍ정보공 학부, 자동차에너지전공, 자동차유지관리(과,전공), 자동차전기계열, 자 동차전기전자(과,전공), 자동차전자(과,전공), 자동차전장과, 자동차정비 (과,전공), 자동차정비검사설계(과·전공), 자동차정비검사전공, 자동차정 비튜닝(과ㆍ전공), 자동차제어및진단기술(과,전공), 자동차튜닝(과,전 공), 자동차튠업제어과, 자동차하이테크전공, 자동차환경에너지전공, 전 문기계자동차공학((학)과,전공), 차량기계(과,학부), 카메카트로닉스학 과, 카일렉트로닉스(과,전공), 컴퓨터기계/자동차계열, 타이어전공, 특 수차량(과ㆍ전공), 하이브리드자동차(과ㆍ전공), SUV/BOSCH전공 금속금형설계과, 금형과, 금형기술과, 금형디자인과, 금형설계공학(과ㆍ 전공), 금형성형과, 금형제작학과, 기계금속공학부, 기계금형공학과, 기 계ㆍ금속공학교육(전공,학과군), 디지털금형디자인(과ㆍ전공), 로봇·금형 디자인(과·전공), 벤처금형공학과, 제품설계금형공학(과ㆍ전공), 캐드캠 응용금형학과, 컴퓨터금형설계전공, 컴퓨터금형제품과, 컴퓨터응용금형 과, 컴퓨터응용금형설계(과,전공) 건축전기설비과, 건축전기시스템과, 고속전기철도과, 광전기공학전공, 광전기제어신소재공학부, 광전자재료전공, 그린산업기술(과ㆍ전공), 기 계및제어공학과, 기계자동제어공학부, 기계전기계열, 기계전기제어과, 기계제어공학부, 기계제어시스템공학부, 대체에너지개발학(과ㆍ전공), 디지털의료정보전기계열, 디지털전기(과ㆍ전공ㆍ부ㆍ계열), 디지털전기 디자인과, 디지털전기정보(과,전공,학부,계열), 디지털전기제어전공, 디 - 19 - -----------------------------------------------------Page 37-----------------------------------------------------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지털전기통신과, 디지털정보제어공학(과,전공), 디지털정보제어학과, 바 이오일렉트로닉스과, 반도체전기자동차공학부, 발명특허공무원학(과ㆍ 전공), 발명특허학(과ㆍ전공), 산업및전기공학계열, 산업전기공학과, 선 박기계ㆍ에너지시스템(과ㆍ전공), 선박에너지시스템공학(과ㆍ전공), 선 박전기(과ㆍ전공), 승강기메카트로닉스(과ㆍ전공), 승강기보수(과ㆍ전 공), 승강기안전관리(과ㆍ전공), 승강기전기설계(과ㆍ전공), 신소재전기 공학부, 신재생에너지(과ㆍ전공), 신재생전기에너지학(과·전공), 아트조 명과, 에너지그리드학(과ㆍ전공), 열냉동과, 열냉동관리과, 열전기에너 지시스템과, 열처리과, 유도무기과, 의료전기전자과, 의용전기전자과, 의전기전자과, 일렉트로닉스패키징, 자동차전기계열, 자동차전기전자 (과,전공), 자동화전기과, 전기(학)(과ㆍ전공ㆍ계열), 전기.전자.컴퓨터 공학전공, 전기·반도체·제어공학군, 전기·전자·정보통신·메카트로닉스공 학부,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전자공학교육전공, 전기·전자재료·제어공 학군, 전기·제어·신소재공학부, 전기·컴퓨터공학부군, 전기계열학과군, 전기계측제어과, 전기공사학과, 전기공학(과,부,전공), 전기공학교육과, 전기광전자공학부, 전기기계공학과, 전기기기제어전공, 전기기술전공, 전기및반도체공학(과,전공), 전기및반도체공학과군, 전기및컴퓨터공학 과, 전기방송(과,계열), 전기설비(과,전공), 전기설비자동화전공, 전기소 방계열, 전기소방시스템전공, 전기소방안전(과·전공), 전기시스템(과,전 공), 전기시스템공학과, 전기시스템디자인과, 전기시스템제어전공, 전기 ㆍ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ㆍ선박시운전(과ㆍ전공), 전기ㆍ전자계열, 전기ㆍ전자공학교육(과,학과군), 전기ㆍ전자ㆍ전자통신공학부, 전기ㆍ전 자ㆍ통신공학교육(과ㆍ전공), 전기ㆍ컴퓨터제어공학부, 전기에너지공학 (과,전공), 전기에너지시스템과, 전기에너지전자공학(과ㆍ전공), 전기자 동화과, 전기자동화정보(과,전공), 전기재료공학과, 전기전산계열, 전기 전산공학과, 전기전자(과,전공,계열), 전기전자공학(과,부,전공,군,계열), 전기전자기계과, 전기전자멀티미디어공학부, 전기전자및자동화공학부, 전기전자및컴퓨터공학(과,부), 전기전자ㆍ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 자동화정보계열, 전기전자전산(계열,학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전기 전자정보(전공,계열), 전기전자정보공학(과,부), 전기전자정보시스템공 학부, 전기전자정보컴퓨터제어계측공학과군, 전기전자정보통신(공학,계 열), 전기전자정보통신공학(부,전공), 전기전자정보통신컴퓨터공학과군, 전기전자제어공학부, 전기전자제어통신공학과군, 전기전자컴퓨터공학 (과,부,전공), 전기전자통신(학과ㆍ학부ㆍ계열), 전기전자통신공학(부,과 군), 전기전자학부, 전기정보공학(전공,과군), 전기정보과, 전기정보과 학과, 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전기정보ㆍ전자공학부, 전기정보제어공학 부, 전기정보제어과, 전기정보통신계열, 전기정보통신공학부, 전기제어 계측공학부, 전기제어공학(과,부,전공), 전기제어과, 전기제어생체공학 부, 전기제어시스템공학부, 전기제어시스템과, 전기제어전자정보통신공 학과군, 전기컴퓨터공학부, 전기통신공학(과ㆍ전공), 전기통신설비과, 전력설비자동화(과,전공), 전력시스템전공, 전자·전기·제어공학전공, 전 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 전자전기공학(과,부,전공), 전자전기정보공 학부, 전자전기정보컴퓨터공학부, 전자전기정보통신공학부, 전자전기제 어공학과,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전공), 전자전기컴퓨터학부, 전자전기 통신공학(부,전공), 전자정보공학(과,부,전공), 전자정보전기공학부, 전 자제어공학(과,부), 전자제어과, 전자제어통신공학부, 전자컴퓨터전기제 어공학(부,과,전공), 전자통신전기공학부, 전파·전기시스템·전자통신공학 과군, 정밀계측(과,전공), 정보전자전기공학과군, 정보전자통신계열, 제 어(과,전공), 제어계측(과,학과,전공), 제어계측건축설비공학부, 제어계 - 20 - -----------------------------------------------------Page 38-----------------------------------------------------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측공학(과ㆍ전공), 제어계측시스템(과,전공), 제어기계공학과, 제어시스 템공학(과,전공), 제어시스템정보과, 제어자동화공학(과·전공), 제어자동 화시스템공학전공, 조명인테리어(학)(과,전공), 조선/선박시운전(과ㆍ전 공), 조선전기제어((학)과, 전공), 철도기술전공, 철도운전기전(과ㆍ전 공), 철도운전제어학과, 철도전기(과,전공), 철도전기·정보통신학부, 철 도전기시스템학(과ㆍ전공), 철도전기신호학(과ㆍ전공), 철도전기ㆍ기관 사(과ㆍ전공), 철도전기제어과, 철도차량전기과, 컴퓨터응용전기(과,전 공,계열), 컴퓨터응용전기시스템과, 컴퓨터응용전기전자과, 컴퓨터응용 제어(공학과,과,전공), 컴퓨터전기공학부, 컴퓨터전기시스템과, 컴퓨터 전기자동화과, 컴퓨터전기전자계열, 컴퓨터전기전자공학과군, 컴퓨터전 기정보학(과ㆍ전공), 컴퓨터제어(과,전공), 컴퓨터제어·전기공학부, 컴퓨 터제어계측공학과, 컴퓨터제어공학(과,전공), 항공전기과, 항공전기제어 과, 헬기정비과, 환경화학섬유전기기계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군, e-CAD(과ㆍ전공), IT응용시스템공학(과ㆍ전공), SG전기전자제어(과ㆍ 전공), TV촬영조명과 건축컴퓨터공학과군, 게임(전공,학과,학부), 게임, 멀티미디어공학전공, 게임, 미디어전공, 게임, 소프트웨어전공, 게임, 애니메이션학과, 게임 개발공학(과,전공), 게임공학(과,전공), 게임그래픽디자인전공, 게임기획 학(과,전공), 게임디자인공학(과ㆍ전공), 게임디자인컨텐츠표준전공, 게 임디지털컨텐츠전공, 게임멀티미디어(전공,학과), 게임소프트웨어(공학) 전공, 게임ㆍ멀티미디어(공학)전공, 게임애니메이션(과,전공,학과,학부), 게임웨어(과,학과), 게임제작(계열,학과,전공), 게임창작과, 게임컨설팅 과, 게임컨텐츠전공, 게임프로그래밍학과, 게임PD전공, 경찰사이버보안 과, 계산통계학과, 계측정보처리전공, 계측제어과, 관광멀티미디어(과· 전공), 관광컴퓨터정보계열, 광(광과,학과), 광기술공학과, 광반도체정 보공학과, 광응용과학전공, 광응용학과, 광전기공학전공, 광전기제어신 소재공학부, 광전자(공학과,공학전공,과), 광전자디스플레이공학전공, 광전자물리(전공,학과,학전공), 광전자재료전공, 광전자정보공학(과ㆍ전 공ㆍ부), 광전자정보통신과, 광전자통신과, 광전자화공소재전공, 광정보 미디어공학과, 광정보통신과, 광통신설비과, 광통신전자공학부, 광학공 학과, 국방과학기술학(과ㆍ전공), 국방전자통신(과·전공), 국제정보통신 202 전자 과, 군산관학특약계열, 그래픽게임전공, 그래픽아트미디어과, 글로컬IT 학과, 금융전산과, 기계의용공학(과ㆍ전공), 기계전자(공학부,과), 기계 컴퓨터공학과군, 기전공학(과,전공), 나노고분자재료공학과, 나노공학 (과,부,전공), 나노과학기술학(과,부), 나노과학부, 나노-광공학과, 나노 메카트로닉스공학(과,전공), 나노바이오화학과, 나노반도체(과ㆍ전공), 나노생명과학공학과, 나노생명소재공학(과,전공), 나노생명화학공학(과, 전공), 나노생체화학공학부, 나노소자(과ㆍ전공), 나노소재공학(과,전 공), 나노소재ㆍ응용화학공학부, 나노소재응용공학부, 나노소재학전공, 나노소재화학전공, 나노시스템공정공학(과·전공), 나노시스템공학부, 나 노신소재(공)(학과,학부), 나노융합공학(과,전공), 나노재화학전공, 나노 전자물리전공, 나노정보공학전공, 나노정보소재공학(과·전공), 나노측정 과, 나노화학공학과, 나노화학소재공학과, 나노화학환경공학과, 내장형 하드웨어(학)과, 냉동공학전기및반도체공학과군, 네트워크(과,전공), 네 트워크·서버과, 네트워크전자계열, 네트워크정보공학부, 네트워크정보 과, 네트워크정보통신(과,전공), 뉴미디어(과,학과,학부,전공), 뉴미디어 디자인(과,전공), 뉴미디어음악학과, 다매체영상학과, 데이타정보전공, 데이터베이스응용(공학)전공, 데이터베이스전공, 데이터정보학과, 동서 의료공학(과,전공), 디스플레이/사인디자인과,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 - 21 - -----------------------------------------------------Page 39-----------------------------------------------------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과, 디스플레이공학(과,부), 디스플레이션소재공학과, 디스플레이전공, 디스플레이전자과, 디스플레이화학공학(부,전공), 디지털건축디자인전 공, 디지털건축전공, 디지털게임공학과, 디지털게임애니메이션학과, 디 지털게임전공, 디지털경영학과, 디지털공학과, 디지털광고디자인(과,전 공), 디지털광고사진과, 디지털그래픽디자인(과,전공), 디지털기계학부, 디지털디스플레이공학(과,전공), 디지털디스플레이전자((학)과,전공), 디 지털디자인(학)(과ㆍ전공ㆍ부ㆍ계열), 디지털디자인ㆍ건축학과, 디지털 만화과, 디지털모터과, 디지털문예창작과, 디지털문화예술학부, 디지털 문화이벤트전공, 디지털문화콘텐츠(학과,학부,전공), 디지털문화콘텐츠 공학(과,전공), 디지털문화학부, 디지털물리학과, 디지털미디어(학)(과ㆍ 전공ㆍ부), 디지털미디어공학전공,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부,전공), 디지털방송(과,전공), 디지털방송미디어과, 디지털방송영상과, 디지털방 송통신(공학)전공, 디지털사무정보과, 디지털사진, 애니메이션과, 디지 털사진영상(과,전공), 디지털산업디자인(과,계열), 디지털산업전자과, 디 지털설계전공, 디지털시각디자인과, 디지털시스템(전공,계열), 디지털시 스템공학(과ㆍ전공), 디지털시스템동력시스템공학(과ㆍ전공), 디지털아 트(과,학부), 디지털애니메이션(과,전공,학과), 디지털애니메이션ㆍ디자 인(과,학부), 디지털엔터테인먼트학과, 디지털영상(학)(과ㆍ전공ㆍ부ㆍ 계열), 디지털영상광고전공, 디지털영상그래픽학과, 디지털영상디자인 과, 디지털영상매스컴학부, 디지털영상매체전공, 디지털영상미디어과, 디지털영상미디어창업계열, 디지털영상애니메이션과, 디지털영상정보 (과,학부,계열), 디지털영상콘텐츠과, 디지털영화제작전공, 디지털용접 학과, 디지털음악과, 디지털의료정보전기계열, 디지털인테리어과, 디지 털자동화정보계열, 디지털자동화학과, 디지털전기(과ㆍ전공ㆍ부ㆍ계열), 디지털전기디자인과, 디지털전기정보(과,전공,학부,계열), 디지털전기제 어전공, 디지털전기통신과, 디지털전자(과ㆍ전공), 디지털전자/정보통신 계열, 디지털전자공학(과,부), 디지털전자디자인과, 디지털전자정보(과, 계열), 디지털전자정보공학부, 디지털전자통신(과,전공), 디지털정보(과, 전공,계열), 디지털정보공학(부,전공), 디지털정보미디어전공, 디지털정 보전자(과,전공), 디지털정보전자공학전공, 디지털정보제어공학(과,전 공), 디지털정보제어학과, 디지털정보통신(과,학과,전공,계열), 디지털정 보통신공학과, 디지털정보학(과,부), 디지털제어공학전공, 디지털제품디 자인(과,전공), 디지털출판과, 디지털출판미디어학과, 디지털캐릭터애니 메이션전공, 디지털컨텐츠(전공,학부), 디지털컨텐츠디자인(과,전공), 디 지털컨텐츠제작전공, 디지털콘텐츠(과,전공,학과,학부), 디지털콘텐츠디 자인(과ㆍ전공), 디지털콘텐츠비즈니스전공, 디지털패션디자인학과, 디 지털VR전공, 레이저광정보공학전공, 로보테크과, 로봇, 제어공학전공, 로봇공학(과ㆍ전공), 로봇금형디자인전공, 로봇시스템공학과, 로봇전자 과, 로봇제어(과,전공), 마이크로로봇과, 마이크로프로세서전공, 매체 (과ㆍ전공), 매체공학과, 매체예술(과ㆍ부ㆍ전공), 매체정보학(과ㆍ전 공), 멀티미디어(계열ㆍ공학(과ㆍ전공)ㆍ공학부, 멀티미디어디자인(계 열,과,전공,학부), 멀티미디어방송과, 멀티미디어비즈니스과, 멀티미디 어사무응용과, 멀티미디어소프트웨어공학(전공,과,학과), 멀티미디어시 스템공학(과,전공), 멀티미디어시스템전공, 멀티미디어ㆍ게임공학전공, 멀티미디어영상학(과,학부), 멀티미디어웹전공, 멀티미디어음악과, 멀티 미디어인터넷응용전공, 멀티미디어자율전공부, 멀티미디어정보(과학, 관리계열), 멀티미디어정보(전공,전산학부), 멀티미디어정보계열, 멀티 미디어정보시스템전공, 멀티미디어정보ㆍ영상공학부, 멀티미디어정보처 리전공, 멀티미디어정보통신(과,학과,계열,공학과), 멀티미디어정보학 - 22 - -----------------------------------------------------Page 40-----------------------------------------------------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과, 멀티미디어창작전공, 멀티미디어컨텐츠(과,전공), 멀티미디어컴퓨터 과, 멀티미디어콘텐츠(과,전공), 멀티미디어통신(과,전공), 멀티미디어통 신공학(과ㆍ전공), 멀티미디어통신표준전공, 멀티미디어편집과, 멀티미 디어학(과,학부,전공), 멀티영상디자인전공, 멀티오피스인터넷공학부, 멀티인터넷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과,군,부,전공,협동과,계열정보학부), 모바미디어전공, 모바일게임과, 모바일네트워크(과,전공), 모바일넷(과, 전공), 모바일멀티미디어(과,전공), 모바일소프트웨어(공학전공,과), 모 바일웹마스터과, 모바일인터넷과, 모바일전공, 모바일정보기술(과,전 공), 모바일정보통신(과,전공), 모바일컴퓨터전공, 모바일콘텐츠(과,학 과,전공), 모바일통신과, 무대조명ㆍ음향(과ㆍ전공), 무선인터넷콘텐츠 전공, 무선정보통신전공, 문화컨텐츠(전공,학과), 문화컨텐츠.이벤트디 자인전공, 문화컨텐츠개발과, 물리및응용물리학(과ㆍ전공), 물리반도체 (과학부,과학전공,학부), 미디어(학)(과ㆍ전공), 미디어공학전공, 미디어 디자인(계열,전공), 미디어디자인(학부,컨텐츠학부), 미디어미술과, 미디 어사진과, 미디어시스템전공, 미디어아트(전공,학부), 미디어아트디자인 과, 미디어연예학전공, 미디어영상(과,학과,학부), 미디어영상시스템과, 미디어영상전자과, 미디어영상학(과,부), 미디어정보계열, 미디어정보공 학전공,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테크놀리지학과, 미디어통신공학 전공, 미디어홍보출판과, 바이오메디컬공학부, 바이오메카트로닉스전 공, 바이오정보전자전공, 반도체공학(과,전공), 반도체과학(과,기술학과, 전공), 반도체광디스플레이학부, 반도체디스플레이(과ㆍ전공), 반도체물 리(과ㆍ전공), 반도체및신소재공학과, 반도체및전파통신전공, 반도체설 계공학전공, 반도체설계전공, 반도체시스템공학전공, 반도체응용(전공 ㆍ물리학과), 반도체전공, 반도체전기자동차공학부, 반도체전자(전공, 공학부), 반도체학(과,과군), 반도체ATE공학과, 반도체CAD(과ㆍ전공), 반도체IT공학과, 방송디지털콘텐츠전공, 방송전자과, 방송정보전자과, 방송정보통신(과,계열), 병원의료공학과, 병원전산전공, 보건의료공학 과, 보건의료기기과, 보건의료전자(과ㆍ전공), 보건IT산업과, 비이오일 렉트로닉스과, 비주얼컨텐츠디자인전공, 비즈니스소프트웨어전공, 사이 버오피스전공, 사이버응용전공, 사이버테러대응과, 산업전산(과,공학부, 학과,전공), 생명정보공학(과,전공), 생물기전공학(과,전공), 생체공학 (과,전공), 생체의공학(과·전공), 생체정보(과)공학부, 생체정보과, 생체 정보시스템(과ㆍ전공), 생체컴퓨터학과, 선박전자기계공학부, 설계CAD 전공, 세라믹반도체재료전공, 소프트웨어(학)(과ㆍ전공ㆍ부), 소프트웨 어·게임학부, 소프트웨어개발(학)(과,전공), 소프트웨어공학(과,전공), 소 프트웨어시스템전공, 소프트웨어응용전공, 소프트웨어정보(과,전공), 솔 라반도체(과ㆍ전공), 솔루션전공, 수리정보ㆍ반도체물리학부, 수리정보 ㆍ반도체학과군, 수리정보통계학부, 수리정보학(과,부), 수리컴퓨터학 부, 수학물리학부수학물리화학계열, 수학ㆍ신소재물리학부, 수학ㆍ전산 통계학부, 수학ㆍ정보통계학(부,과군), 수학전산통계학(부, 학과군), 수 학정보물리학부, 수학정보통계학부, 수학정보학과, 수학컴퓨터통계학 부, 수학통계정보과학부, 수학통계컴퓨터과학과군, 승강기메카트로닉스 (과ㆍ전공), 승강기보수(과ㆍ전공), 승강기시스템관리학(과,전공), 승강 기안전관리(과ㆍ전공), 승강기전기설계(과ㆍ전공), 시스템및제어전공, 시스템응용공학부, 시스템정보공학과, 시스템제어(공학)(과ㆍ전공ㆍ부), 시스템제어정비과, 시스템프로그래밍전공, 신물질과학전공, 신소재물리 학전공, 신소재전자계열, 신재생에너지(과ㆍ전공), 신재생전기에너지학 (과·전공), 실용소프트웨어전공, 실용전자공학과, 아동컴퓨터교육전공, 아동컴퓨터보육전공, 아동컴퓨터전공, 안경광학과, 에너지그리드학(과 - 23 - -----------------------------------------------------Page 41-----------------------------------------------------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ㆍ전공), 에너지정보(과ㆍ전공), 영상광정보공학부, 영상광학전공, 영상 정보공학부, 영상정보전자전공, 영상컨텐츠(과,전공), 영상컨텐츠개발전 공, 영화영상ㆍ멀티미디어공학부, 운영분석학(과ㆍ전공), 원자력과총포 ㆍ광학장비과, 웹, 컴퓨터응용계열, 웹디자인(과,전공), 웹디자인매니지 먼트과, 웹마스터(과,전공), 웹멀티미디어(과,전공), 웹모바일보안과, 웹 모바일정보(과,전공), 웹미디어전공, 웹사무정보과, 웹서비스전공, 웹스 타일리스트(과,전공), 웹응용공학(과,전공), 웹정보공학(과,전공), 웹정 보산업과, 웹정보처리(과,전공), 웹컨텐츠개발(과,전공), 웹컴퓨터과, 웹 코디네이션과, 웹콘텐츠전공, 웹프로그래밍(과,전공), 위성정보(과)공학 과, 위성정보과학과, 유도무기과, 유비쿼터스통신(과ㆍ전공), 유비쿼터 스IT(학)(과ㆍ전공), 음악녹음전공, 음향(학)과, 음향공학과, 음향미디어 전공, 음향전자기기학과, 음향제작(과,전공,계열), 응용물리전자학(과ㆍ 전공), 응용물리학(과,전공), 응용소프트웨어개발전공, 응용소프트웨어 전공, 응용수리학부, 응용수학(과,전공), 응용수학·반도체학과군, 응용수 학반도체응용물리학과군, 응용수학응용물리학과군, 응용전자공학과, 응 용정보처리과, 응용정보통계학전공, 응용컴퓨터공학전공, 응용컴퓨팅전 공, 의공학(과ㆍ전공ㆍ부), 의공학특성화연계(과ㆍ전공), 의료공학(과, 부,전공), 의료공학과, 의료공학프로그램(과ㆍ전공), 의료기공학과, 의 료기기정보과, 의료기기학과, 의료기정보과, 의료보장구(과,학과), 의료 생체공학과, 의료생체공학프로그램(과ㆍ전공), 의료시스템공학부, 의료 시스템정보과, 의료ㆍ멀티미디어계열, 의료전기전자과, 의료전산행정 과, 의료전자(과,전공), 의료전자정보과, 의료전자학(과,부), 의료정보 (학)전공, 의료정보공학(과,전공), 의료정보과, 의료정보관리과, 의료정 보시스템(과,전공), 의료IT공학(과ㆍ전공), 의용공학(과ㆍ전공), 의용메 카트로닉스(과,전공), 의용메카트로닉스과, 의용전기전자과, 의용전자공 학(과,전공), 의용전자공학과, 의용정보전공, 의학공학부, 이미지시스템 공학전공, 이미지시스템전공, 인공지능(학과,전공), 인공지능컴퓨터학 과, 인쇄과, 인터넷, 컴퓨터응용계열, 인터넷가상현실(학과,전공), 인터 넷게임(과,전공), 인터넷공학(과,부,전공), 인터넷과, 인터넷기업응용전 공과전공, 인터넷네트워크과, 인터넷멀티미디어학부, 인터넷미디어(공) 학부, 인터넷미디어(학)(과,전공), 인터넷미디어정보과, 인터넷방송(학) (과,전공,계열), 인터넷보안(학)과, 인터넷사무자동화(과,전공,계열), 인 터넷사무정보(과,전공), 인터넷산업경영계열, 인터넷산업공학부, 인터넷 산업정보공학전공, 인터넷소프트웨어공학(과,부), 인터넷소프트웨어학 과, 인터넷ㆍIT공학부, 인터넷오피스정보과, 인터넷운용관리과, 인터넷 웹정보시스템과, 인터넷응용(과,전공,계열), 인터넷응용공학(과,전공), 인터넷응용ㆍ방송전공, 인터넷전공, 인터넷전산정보전공, 인터넷전자상 거래과, 인터넷전자정보(전공,계열), 인터넷정보(과,계열), 인터넷정보공 학(과,전공), 인터넷정보과학과, 인터넷정보관리전공, 인터넷정보기술 (과,계열), 인터넷정보미디어(학과,계열), 인터넷정보보안해킹과, 인터넷 정보시스템전공과전공, 인터넷정보전공, 인터넷정보전자계열, 인터넷정 보처리(학)과, 인터넷정보통신(과,전공,학과), 인터넷정보통신계열, 인터 넷정보통신공학(전공), 인터넷정보학(과,부,전공), 인터넷컴퓨터(학과,계 열), 인터넷콘텐츠전공, 인터넷테크노, 멀티미디어계열, 인터넷통신(과 ㆍ전공), 인터넷통신공학전공, 인터넷품질경영과, 인터넷프로그래밍(과, 전공), 인터넷프로그램학전공, 인터넷하이테크계열, 인터넷학(과,부), 인터넷학과전산학과, 인터넷DB전공, 인터넷IT계열, 인터넷IT공학부, 인 터넷SW전공, 인터넷TV방송과, 인테리어디지털디자인과, 임베디드소프 트웨어(학)과, 임베디드시스템(과ㆍ학과ㆍ공학과), 임베디드통신공학전 - 24 - -----------------------------------------------------Page 42-----------------------------------------------------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공, 자동차전기전자(과,전공), 자동차전자(과,전공), 자동화(과ㆍ전공ㆍ 계열), 자동화공학과, 자동화정보공학부, 재활공학전공, 전기(학)(과ㆍ 전공ㆍ계열), 전기.전자.컴퓨터공학전공, 전기·반도체·제어공학군, 전기· 전자·정보통신·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전자공학교 육전공, 전기·전자재료·제어공학군, 전기·제어·신소재공학부, 전기·컴퓨 터공학부군, 전기광전자공학부, 전기및반도체공학(과,전공), 전기및반도 체공학과군, 전기및컴퓨터공학과, 전기설비(과,전공), 전기ㆍ전자계열, 전기ㆍ전자공학교육(과,학과군), 전기ㆍ전자ㆍ전자통신공학부, 전기ㆍ전 자ㆍ통신공학교육(과ㆍ전공), 전기ㆍ컴퓨터제어공학부, 전기에너지전자 공학(과ㆍ전공), 전기전산계열, 전기전산공학과, 전기전자(과,전공,계 열), 전기전자계열, 전기전자공학(과,부,전공,군,계열), 전기전자기계과, 전기전자멀티미디어공학부, 전기전자및자동화공학부, 전기전자및컴퓨터 공학(과,부), 전기전자ㆍ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자동화정보계열, 전기전자전산(계열,학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전기전자정보(전공,계 열), 전기전자정보공학(과,부), 전기전자정보시스템공학부, 전기전자정 보컴퓨터제어계측공학과군, 전기전자정보통신(공학,계열), 전기전자정보 통신공학(부,전공), 전기전자정보통신컴퓨터공학과군, 전기전자제어공학 부, 전기전자제어통신공학과군,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부,전공), 전기 전자통신(학과ㆍ학부ㆍ계열), 전기전자통신공학(부,과군), 전기전자학 부, 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전기정보ㆍ전자공학부, 전기정보제어공학 부, 전기정보제어과, 전기정보통신계열, 전기정보통신공학부, 전기제어 계측공학부, 전기제어공학(과,부,전공), 전기제어과, 전기제어시스템공 학부, 전기제어시스템과, 전기제어전자정보통신공학과군, 전기컴퓨터공 학부, 전력시스템전공, 전력전자전공, 전산(학)(과ㆍ전공ㆍ계열), 전산 공무원양성전공, 전산공무원전공, 전산공학(과,전공), 전산과전산정보 과, 전산과학(과,전공), 전산기공학부, 전산사무과, 전산사무자동화과, 전산사무정보학부, 전산수학(과,부,전공), 전산수학과·전산학과군, 전산 수학의료경영(보건학과)군, 전산수학콘텐츠학(과·전공), 전산ㆍ게임학과, 전산응용공학과, 전산응용과, 전산전자공학부, 전산전자물리학(과,전 공), 전산정보(학)(과ㆍ부ㆍ전공ㆍ계열), 전산정보공학과, 전산정보과학 과, 전산정보관리학과, 전산정보보호학(과,전공), 전산정보수학(과,부,전 공), 전산정보응용통계학부, 전산정보처리(과,부,전공), 전산정보통신 (과,계열), 전산정보통신공학부, 전산커뮤니티전공, 전산통계(학)(과,부, 전공), 전산통신전공, 전산행정관리전공, 전자(학)(과ㆍ전공ㆍ계열), 전 자·전기·제어공학전공, 전자·전자계산·기계공학과군, 전자·전자통신·전파 공학과군,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 전자계산(학)(과,전공,부), 전자 계산공학과, 전자계산기과, 전자계산환경과학과군, 전자공학(과,부,전 공), 전자공학교육과, 전자공학컴퓨터학계열, 전자과학(과ㆍ전공), 전자 광공학부, 전자기계공학부, 전자기기학과, 전자매체공학부, 전자매체공 학부(전자물리학), 전자물리학(과,부,전공), 전자미디어공학전공, 전자미 디어과, 전자및정보공학부, 전자및통신공학전공, 전자및항공전자공학전 공, 전자시스템공학(과,부,전공), 전자신소재(공학)과, 전자ㆍ시스템공학 부, 전자ㆍ시스템ㆍ정보공학부, 전자ㆍ전산ㆍ전파공학부, 전자ㆍ전자통 신ㆍ컴퓨터공학부, 전자ㆍ정보통신공학(부,전공군), 전자유도기술학(과 ㆍ전공), 전자응용계열, 전자의용공학부, 전자재료공학(과,전공), 전자 재료과학전공, 전자재료응용학과, 전자전기공학(과,부,전공), 전자전기 정보공학부, 전자전기정보컴퓨터공학부, 전자전기정보통신공학부, 전자 전기제어공학과,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전공), 전자전기컴퓨터학부, 전 자전기통신공학(부,전공), 전자전산공학과, 전자전산전파공학부, 전자전 - 25 - -----------------------------------------------------Page 43-----------------------------------------------------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파계열, 전자전파공학전공, 전자전파정보통신전공, 전자정보(과,전공,계 열), 전자정보공학(과,부,전공), 전자정보공학·제어계측공학과군, 전자정 보공학제어계측공학과군, 전자정보기술전공, 전자정보보호공학부, 전자 정보산업학부, 전자정보시스템공학전공, 전자정보응용과, 전자정보전기 공학부, 전자정보통신(과,전공,계열), 전자정보통신공학(과,부,군,전공), 전자정보통신반도체공학부, 전자정보통신제어계열, 전자정보통신컴퓨터 공학부, 전자정보학(과,부), 전자제도공학전공, 전자제어공학(과,부), 전 자제어과, 전자제어통신공학부, 전자지능로봇공학(과ㆍ전공), 전자출판 (과,전공), 전자출판디자인과, 전자출판인쇄전공, 전자컴퓨터계열, 전자 컴퓨터공학부,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과,전공), 전자컴퓨터정보통 신공학부, 전자통신(과,전공,계열), 전자통신공학(과,부,전공,전공군,계 열), 전자통신시스템학과, 전자통신전기공학부, 전자통신전파공학(과ㆍ 부ㆍ전공), 전자통신정보공학부,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 전자통신컴퓨 터멀티미디어공학부, 전자통신학(과,부), 전자편집디자인과, 전자회로설 계전공, 전자회로실무과, 전자PCB계열, 전파·전기시스템·전자통신공학 과군, 전파공학(과,전공), 전파이동통신공학(과,전공), 전파이동통신학 과, 전파정보통신공학부, 전파통신(학)(과ㆍ전공), 전파통신공학(과,전 공), 정밀계측(과,전공), 정보검색과, 정보검색통계전공, 정보검색활용 전공, 정보계열, 정보공학(과,부,전공), 정보과학(과,전공,부,계열), 정보 관리(학)(과ㆍ전공), 정보기계공학전공, 정보기술(학)(과ㆍ전공ㆍ부ㆍ계 열), 정보기술공학(과,부,과군), 정보기술교육전공, 정보기술응용공학전 공, 정보기술컴퓨터공학부, 정보네트워크공학전공, 정보네트워크전공, 정보디스플레이학과, 정보매체공학부, 정보메카트로닉스전공, 정보물리 학(과,전공), 정보미디어(학)(과,부,전공,과군), 정보및컴퓨터공학부, 정 보보안(과,전공), 정보보안·해킹(과,전공), 정보보안공학과, 정보보호 (학)(과,전공), 정보보호공학전공, 정보보호관리학전공, 정보보호기술공 학과, 정보보호및전자상거래학과, 정보보호시스템전공, 정보분석학과, 정보사무자동화과, 정보산업(학)(과ㆍ부ㆍ전공ㆍ계열), 정보산업공학 (과,전공), 정보소자공학전공, 정보소자학과, 정보소재공학(과,전공), 정 보수리·전산통계학과군, 정보수리과학부, 정보수리ㆍ전산통계학부, 정 보수리프로그래밍전공, 정보수리학(과,전공), 정보수학(과,전공), 정보수 학·전산통계학학과군, 정보시스템(학)(과,전공,과군), 정보시스템개발학 과, 정보시스템공학(과,부,전공), 정보ㆍ컴퓨터공학전공, 정보운영분석 학(과ㆍ전공), 정보응용학부, 정보자동화공학부, 정보전산(학)(과ㆍ전공 ㆍ부ㆍ공학과), 정보전산공무원계열, 정보전산소재공학과, 정보전송설 비과, 정보전자(과,전공,계열), 정보전자공학(과,부,전공,과군), 정보전 자공학교육과, 정보전자소재공학(과ㆍ전공), 정보전자영상공학부, 정보 전자전기공학과군, 정보전자통신계열, 정보전자통신공학부, 정보전자통 신과, 정보전자학과군, 정보제어계측공학(과,부), 정보제어공학(과,전 공), 정보처리(학)(과ㆍ전공ㆍ계열), 정보처리공학과, 정보처리실무전공, 정보처리응용과, 정보컨텐츠과, 정보컨텐츠디자인전공, 정보컴퓨터공학 부, 정보컴퓨터학부, 정보콘텐츠과, 정보통계(학)(과,전공), 정보통계·보 험수리학과, 정보통신(학)(과ㆍ부ㆍ전공ㆍ과군), 정보통신공학(과,부,전 공,과군,계열), 정보통신네트워크전공, 정보통신디지털영상학부, 정보통 신멀티미디어공학부, 정보통신미디어계열, 정보통신및컴퓨터공학(과,부, 전공), 정보통신사이버경찰학과, 정보통신산업공학부, 정보통신설비과, 정보통신시스템(과,전공), 정보통신시스템공학(부,전공), 정보통신영상 계열, 정보통신응용전공, 정보통신인터넷공학부, 정보통신전자공학부, 정보통신전파공학(부,전공), 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 정보통신학(과,부, - 26 - -----------------------------------------------------Page 44-----------------------------------------------------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전공,과군), 정보통신홈네트워크(과ㆍ전공), 정보통신S/W공학(과,전공), 정보행정기술과, 제어계측(과,학과,전공), 제어계측건축설비공학부, 제 어계측공학(과ㆍ전공), 제어계측로봇공학(과·전공), 제어기계공학과, 제 어시스템공학(과,전공), 제어시스템정보과, 제어자동화공학(과·전공), 제 어자동화시스템공학전공, 제조IT연계전공, 조선정보기술계열, 지구물리 학과, 지능로봇공학(과·전공), 지능로봇ㆍ신소재공학전공, 지능정보공학 전공, 지식정보(공)학부, 지식정보산업공학과, 진공과학공학협동과정, 차세대통신소프트웨어전공, 철도운전제어학과, 철도전기(과,전공), 철도 전기·정보통신학부, 철도전기제어과, 철도전산과, 철도전자과, 철도통신 ((학)과ㆍ전공), 철도행정전산(과·전공), 첨단과학부, 첨단기계설계(과·전 공), 초고속정보통신과, 총포광학과, 총포광학장비과, 출판미디어(과ㆍ 전공), 캐드그래픽스과, 캐드응용설계(공학)과, 컨텐츠전공, 컴퓨터(과, 계열), 컴퓨터, 인터넷공학전공, 컴퓨터·멀티미디어공학전공, 컴퓨터·영 상공학부, 컴퓨터·인터넷정보과, 컴퓨터·정보시스템공학부, 컴퓨터·IT공 학부(전산공학전공), 컴퓨터·IT공학부(정보공학전공), 컴퓨터게임(개발) 과, 컴퓨터게임(학)(과,전공), 컴퓨터게임, 그래픽전공, 컴퓨터게임산업 (학)전공, 컴퓨터게임정보과, 컴퓨터게임제작과, 컴퓨터공학(과,부,전공, 군,과군,계열), 컴퓨터공학·매체공학과군, 컴퓨터공학교육과, 컴퓨터과 학(과,학과,부,전공), 컴퓨터교육(학)과, 컴퓨터구조응용전공, 컴퓨터그 래픽(스)(과,전공), 컴퓨터그래픽디자인(학)(과,부,전공), 컴퓨터그래픽학 (과,전공), 컴퓨터기술전공, 컴퓨터기전공학과군, 컴퓨터네트워크(과ㆍ 전공), 컴퓨터네트워크보안과, 컴퓨터네트웍·보안전공, 컴퓨터데이터정 보학과, 컴퓨터디자인(학)(과,부,전공,계열), 컴퓨터디지털영상학부, 컴 퓨터멀티미디어(과,전공,계열), 컴퓨터멀티미디어공학(부,전공,과군,전공 군), 컴퓨터멀티미디어콘텐츠공학부, 컴퓨터멀티미디어학(과,부,전공), 컴퓨터문화산업계열, 컴퓨터물리시뮬레이션학과, 컴퓨터물리학과, 컴퓨 터미디어(과,계열), 컴퓨터미디어공학부, 컴퓨터미디어기술전공, 컴퓨터 미디어정보과, 컴퓨터미디어학(과,부), 컴퓨터및정보통신공학(과,부,전 공), 컴퓨터보안/해킹전공, 컴퓨터보안과, 컴퓨터사무자동화계열, 컴퓨 터사무정보계열, 컴퓨터사이언스과, 컴퓨터산업공학(부,전공), 컴퓨터산 업디자인과, 컴퓨터산업응용계열학과군, 컴퓨터산업정보과, 컴퓨터서비 스(과,전공), 컴퓨터설계과,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전공), 컴퓨터소프 트웨어공학(과,부,전공), 컴퓨터소프트웨어ㆍ정보통신전공, 컴퓨터솔루 션전공, 컴퓨터수리정보학과, 컴퓨터시각디자인전공, 컴퓨터시뮬레이션 (학)과, 컴퓨터시스템(표준)학과, 컴퓨터시스템(학)(과ㆍ전공), 컴퓨터시 스템공학(과,전공), 컴퓨터시스템관리전공, 컴퓨터시스템기계과, 컴퓨터 시스템정보공학부, 컴퓨터ㆍ로봇공학전공, 컴퓨터ㆍ소프트웨어공학부, 컴퓨터ㆍIT공학부, 컴퓨터안전관리학전공, 컴퓨터영상정보과, 컴퓨터영 상정보통신학과군, 컴퓨터웹정보과, 컴퓨터유지관리전공, 컴퓨터응용 (과,계열), 컴퓨터응용가공전공, 컴퓨터응용개발과, 컴퓨터응용건축과, 컴퓨터응용공학부, 컴퓨터응용과학(과,부,과군), 컴퓨터응용기계설계 (과,학과,학부,전공,공학과), 컴퓨터응용기계설계공학과, 컴퓨터응용물 리학(과,전공), 컴퓨터응용설계(과,전공,공학과,학전공,계열), 컴퓨터응 용수학(과,전공), 컴퓨터응용시스템(공학)전공, 컴퓨터응용인터넷전공, 컴퓨터응용자동화과, 컴퓨터응용전공, 컴퓨터응용전기시스템과, 컴퓨터 응용전기전자과, 컴퓨터응용전자(과,전공), 컴퓨터응용정보과, 컴퓨터응 용제어(공학과,과,전공), 컴퓨터응용학(부,과군), 컴퓨터이동통신과, 컴 퓨터인터넷(과,전공,계열), 컴퓨터인터넷정보(과,계열,전공), 컴퓨터임베 디드(학)과, 컴퓨터자동화공학전공, 컴퓨터자동화기계과, 컴퓨터자동화 - 27 - -----------------------------------------------------Page 45-----------------------------------------------------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설계과, 컴퓨터자동화시스템과, 컴퓨터전공, 컴퓨터전기공학부, 컴퓨터 전기시스템과, 컴퓨터전기자동화과, 컴퓨터전기전자계열, 컴퓨터전기전 자공학과군, 컴퓨터전자(계열ㆍ과), 컴퓨터전자공학(부,전공,계열,과), 컴퓨터전자물리학과, 컴퓨터전자전공, 컴퓨터전자전기계열, 컴퓨터전자 정보공학부, 컴퓨터전자통신공학부, 컴퓨터전자학과, 컴퓨터정보(과ㆍ 전공ㆍ계열), 컴퓨터정보공학(과ㆍ전공ㆍ부), 컴퓨터정보과학(과,부), 컴 퓨터정보관리(과,전공), 컴퓨터정보기계과, 컴퓨터정보기술(과,학부,계 열), 컴퓨터정보미디어계열, 컴퓨터정보보안학과, 컴퓨터정보산업공학 부, 컴퓨터정보수리학과, 컴퓨터정보수학과, 컴퓨터정보시스템(과,부,전 공,계열), 컴퓨터정보시스템공학부, 컴퓨터정보전공, 컴퓨터정보전자공 학과, 컴퓨터정보전자응용계열, 컴퓨터정보제공전공, 컴퓨터정보처리 (과,부,계열), 컴퓨터정보처리(학)전공, 컴퓨터정보통신(과,학과,학부,전 공,계열),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전공,군), 컴퓨터정보통신디자인계열, 컴퓨터정보학(과,부,전공), 컴퓨터정보활용과, 컴퓨터제어(과,전공), 컴 퓨터제어·전기공학부, 컴퓨터제어계측공학과, 컴퓨터제어공학(과,전공), 컴퓨터제품디자인과, 컴퓨터제품설계과, 컴퓨터캐드전공, 컴퓨터통계수 학전공, 컴퓨터통계정보학과, 컴퓨터통계학과, 컴퓨터통신(학)(과ㆍ전공 ㆍ계열), 컴퓨터통신공학과, 컴퓨터통신전자공학부, 컴퓨터튜닝(과ㆍ전 공), 컴퓨터프로그래밍(과,학과,전공), 컴퓨터학(부,전공,과), 컴퓨터학 과정, 콘텐츠디자인전공, 테크노과학부, 테크노정보(산업)과, 통계정보 학(과,전공), 통계학(과,전공), 통신(학)과, 통신공학(과,부,전공), 통신 전자과, 통신컴퓨터공학부, 특수무기과, 특수전자정보학과, 프로게이머· 해킹보안과, 하이테크CAD/CAM(과,전공), 한방시스템공학(과ㆍ전공), 한방의공학(과ㆍ전공), 한방의료공학(과ㆍ전공), 한방의용공학(과ㆍ전 공), 함정특수장비과, 항공메카트로닉스(과ㆍ전공), 항공전자공학과, 항 공전자과, 항공전자및정보통신공학부, 항공전자시뮬레이션학과, 해양시 스템(학과ㆍ부ㆍ전공ㆍ군ㆍ공학과ㆍ, 해양전자공학전공, 해양전자통신 공학부, 해킹전공, 행정전산(학)과, 헬스케어기기(과,부,전공), 헬스케어 정보(과,부,전공), 홈네트워크과, 화상매체공학전공, 화상매체과, 화상 인쇄과, 화상정보공학부, 환경의료재료계열, 회계전산과, CAD/그래픽 스전공, CAD그래픽스과, e-정보공학과, IT계열, IT공학(과ㆍ전공ㆍ부), IT교육과, IT기반전자공학부, IT기술정보전공, IT디자인계열자율전공, IT-디자인-소방계열, IT마스터학과, IT응용시스템공학(과ㆍ전공), IT전자 공학(과,부), IT정보계열, IT콘텐츠전공, IT특약계열, IT학부, LCD반도체 시스템(과ㆍ전공), MSDE(프로그램ㆍ전공), NTㆍBTㆍ전자세라믹전공, PA전공, PCB전공, SG전기전자제어(과ㆍ전공), TV촬영조명과, VLSI&CAD(과ㆍ전공), Web비서전공 건강자원개발과, 골프코스원예학부, 과수경영(과·전공), 과수학과, 관광 농업과, 관광농업낙농과, 관상원예(과,학과,학전공), 농가정학과, 농공 학(과,부,전공), 농공화학과전공, 농산업교육과, 농생명공학(부,계열), 농생명과학계열, 농생물학(과,전공), 농업경영(학)과, 농업경제학과, 농 업공학(부,과군), 농업과, 농업교육과, 농업기계공학(과,전공), 농업생명 24 농림어업 241 농업 과학과군, 농업시스템공학부, 농업자원경제학과, 농업토목(공학,과,전 공), 농촌개발(학)과, 농촌공학과, 농학(과,전공), 농학연초학과군, 농화 학(과,전공), 농화학식품공학과군, 도시원예(과,전공), 도시원예조경과, 도시원예학전공, 레저원예조경과, 미래농촌지도사지식농업인전공, 미생 물·유전공학전공, 미생물공학(과,전공), 미생물생명공학과, 미생물학(과, 전공), 바이오공학과, 바이오배양공정과, 바이오벤처학부, 바이오비즈니 스학(과,부,전공), 바이오산업과(과,학과,전공),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 28 - -----------------------------------------------------Page 46-----------------------------------------------------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바이오생명정보과, 바이오소재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바이 오시스템·조경학계열, 바이오시스템공학(과,전공), 바이오식품(학)(과ㆍ 전공ㆍ부ㆍ계열), 바이오식품공학(과ㆍ전공ㆍ부ㆍ계열), 바이오식품생명 (과,과학과), 바이오전공, 바이오정보과학과, 바이오품질관리과, 보건허 브과, 본초응용과학전공, 분자과학기술학과, 분자과학부, 분자생명공학 (과ㆍ부ㆍ전공), 분자생명과학(부,전공), 분자생물미생물학(과ㆍ전공), 분자생물학(과,학부,전공), 분자시스템공학전공, 분자식품생명공학(전 공), 분자ㆍ식품생명공학전공, 분자유전육종학(과ㆍ전공), 분자유전학전 공, 사회원예학전공, 생명·제약공학과, 생명·화학시스템학부, 생명건강 공학(과ㆍ전공), 생명공학(과,전공,부,공학전공), 생명공화학전공(학부, 학과군), 생명과(학과,학군), 생명과학(과ㆍ전공ㆍ부ㆍ계열ㆍ군), 생명과 학기술학부, 생명과학부·화학과군, 생명과학식품영양(학군,학계열), 생 명과학ㆍ화학학과군, 생명과학전공, 생명과학정보학부, 생명관리학과 군, 생명나노정보학부, 생명나노화학(부,전공), 생명물질과학과군, 생명 보건학부, 생명분자공학부, 생명산업공학전공, 생명산업과(과학부,전공, 학부), 생명시스템(전공,학과), 생명식품공학부, 생명식품과학부, 생명 유전공학부, 생명유전통계학부, 생명응용과학전공, 생명응용학과, 생명 자원(과,학과,과학부), 생명자원공학부, 생명자원과학학과군, 생명자원 산업(학)(과ㆍ전공), 생명자원산업유통(학)(과ㆍ전공), 생명자원학전공, 생명자원환경과학(부,전공,군), 생명정보공학(과,전공), 생명정보학과, 생명화학(부,전공), 생명화학공학(과,부,전공), 생명환경공학부, 생명환 경과학(계열,군,부), 생명환경디자인전공, 생명환경시스템학(과,군), 생 명환경정보학과군, 생명환경제약공학부, 생명환경화공과, 생명환경화학 (과ㆍ전공), 생물(학)(과ㆍ전공), 생물·분자생물·미생물학과군, 생물공학 (과,전공), 생물과학(과,부,전공), 생물교육(과,전공), 생물기전공학(과, 전공), 생물미생물임상병리식, 생물미생물학(과ㆍ전공), 생물배양과, 생 물배양생물산업학부, 생물산업공학(과,부), 생물산업기계(학)(과ㆍ전공), 생물산업기계공학(과,전공), 생물산업생명공학부, 생물산업학부, 생물소 재공학전공, 생물식품공학부, 생물식품및환경화공학부, 생물ㆍ의생명과 학(과ㆍ전공), 생물응용학과, 생물의약학과, 생물자원경영학전공, 생물 자원공학(과,부,전공), 생물자원과학(과,계열,부,전공), 생물자원기계농 촌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학과, 생물자원시스템공학부, 생물자원학(부,전공), 생물자원학부, 생물자원환 경학전공, 생물정보학전공, 생물학교육(과ㆍ전공), 생물해양학부, 생물 화학공학(과,과군), 생물환경과학(부,과군), 생물환경학(부,전공), 생물 환경화학전공, 생약자원(개발학과,전공,학과,학전공), 생약자원·농생물학 전공군, 생의약화학과, 생체공학(과,전공), 생체정보(과)공학부, 생체정 보과, 생화학(과,전공), 생화학분자생물학전공, 생활원예과, 세포ㆍ미생 물ㆍ유전공학전공, 시설원예과, 식량생명공학(과ㆍ전공), 식량원예과학 (과,전공), 식량자원과, 식량자원식품가공학부, 식량자원학(과,부,전공), 식량작물학과, 식량환경(학)과, 식물미생물학전공, 식물보호(학)과, 식 물산업공학(과,전공), 식물생명공학(과,부), 식물생명과학(부,전공), 식 물생명자원전공, 식물생명전공, 식물생산·산림과학부군, 식물생산과학 (과,부), 식물생의약전공, 식물유전공학(과,전공), 식물유전체전공, 식물 육종학과, 식물응용과, 식물응용과학(과,부), 식물응용과학환경조경학과 군, 식물응용산업과, 식물의학(과,전공), 식물의학ㆍ원예과학과군, 식물 자원개발과, 식물자원과학(과,부,전공), 식물자원ㆍ연초학(과)군, 식물자 원ㆍ특용식물학과군, 식물자원원예학과군, 식물자원응용공학전공, 식물 자원학(과,부,전공), 식물자원환경(전공,학부), 식물학ㆍ원예학과군, 식 - 29 - -----------------------------------------------------Page 47-----------------------------------------------------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물환경과학전공, 식물환경생명공학전공, 식품·동물생명공학부, 식품·생 명·화학공학부, 식품과학(과,부,전공,계열), 식품생명(학과,전공), 식품생 명공업과, 식품자원경제학(과,전공), 식품환경안전학(과ㆍ전공), 약용자 원·화학신소재학부, 약용자원원예개발과, 약용자원전공, 약재개발과, 약 재자원개발과, 여성농업경영학과, 연초학(과,전공), 외식농수산경영학 (과ㆍ전공), 원예(학)(과ㆍ전공), 원예.자원생물환경화학과군, 원예·조경 학부(원예학전공), 원예·조경학부(조경학전공), 원예과학(과,부,전공), 원 예디자인(과ㆍ전공), 원예및식물유전공학전공, 원예사업계열, 원예산업 과, 원예생명공학전공, 원예생명과학부, 원예생명전공, 원예생명조경학 (과ㆍ전공), 원예식물생명공학전공, 원예식품가공학전공군, 원예ㆍ애완 동식물학부, 원예육종학(과,전공), 원예자원(과,전공), 원예조경(과,전 공), 원예조경삼림자원학부, 원예조경학(부,전공), 원예환경(전공,학부), 원예환경조경학과군, 웰빙원예과, 웰빙자원학(과,전공), 유기농생태(학) (과ㆍ전공), 유전공학(과,전공), 유전체정보공학전공, 응용미생물학(과, 전공), 응용분자생물학전공, 응용생명공학부, 응용생명과학(과,부,전공 군), 응용생명산업학부, 응용생명자원공학전공, 응용생명잠사자원학과, 응용생명화학(부,전공), 응용생명환경화학과, 응용생물과학(부,전공), 응 용생물산업학과, 응용생물원예학부, 응용생물자원과학(부,과군), 응용생 물화학(과,부,전공), 응용생물화학식품학부, 응용생물환경학(과,전공), 응용생화학전공, 응용식물과학부, 응용식물학부, 의생명과학과, 의약생 명공학과, 인삼재배학과, 자연약재과학(과ㆍ전공), 자연양재과학과, 자 연요법과, 자연자원학부, 자원생명환경학부, 자원생물학과, 자원생물환 경학(과,부), 자원식물(학)(과,전공), 자원식물개발(학)(과,전공), 자원육 성학전공, 작물과학(과·전공), 작물생명과학과, 작물생산공학전공, 잠사 곤충생물학과, 잠사곤충자원학과, 잠사생물학과, 장물생명과학전공, 전 기제어생체공학부, 전문농업(과ㆍ전공), 전통건강자원개발과, 전통약재 개발과, 전통약재과, 전통약재관리과, 제약공학(과,전공,부), 지역자원 시스템공학(과), 채소경영(과ㆍ전공), 채소학과, 천연섬유(전공,학과), 천연섬유동물자원과학과, 첨단생명공학과, 친환경농업기술과, 친환경원 예(과·전공), 특용식물(학)(과,전공), 특용작물가공과, 특용작물학과, 플 라워디자인&실내조경(과ㆍ전공), 플라워디자인(과,학과), 플라워이벤트 학전공, 플로리스트과, 한방생명자원학과, 한방자원개발학(과ㆍ전공), 한방자원학부, 한방제약개발학과, 한방제약과학(과,전공), 한약자원개발 (학)과, 한약자원산업학과, 한약자원학과, 한약재개발학과, 한약재료 (학)과, 한약재산업학과, 한약재생산가공학과, 한약재약리학(과ㆍ전공), 허브·생물소재산업전공, 허브과, 화공고분자생물공학부, 화예디자인학 (과·전공), 화예학(과,전공), 화학·생물학과군, 화학공학ㆍ생명공학전공, 화학과ㆍ생명과학부군, 화학기술생명과학부, 화학및생명과학부, 화학생 명공학(과,전공), 화학생명공학ㆍ기계공학계열, 화학생명과학(부,과군), 화학생물공학부, 화학생물학부, 화학ㆍ생명과학(부,군), 화학ㆍ생화학 부, 화학응용생명과학부, 화훼경영(과ㆍ전공), 화훼디자인과, 화훼원예 (학)(과,전공), 화훼장식과(전공), 화훼조경디자인과, 화훼조형학(과·전 공), 화훼학(과,전공), 환경그린디자인학(과ㆍ전공), 환경농업과학부, 환 경미생물학부, 환경및생명공학부, 환경바이오시스템(공)학부, 환경바이 오테크(학부,계열), 환경생명(과ㆍ전공), 환경생명공학(과,전공,부), 환 경생명과학(과,부), 환경생명식품공학부, 환경생명화학전공, 환경생물공 학(과,부), 환경생물원예학부, 환경생물자원학전공, 환경생물학전공, 환 경식물공학(과,전공), 환경ㆍ생명(공)학부, 환경원예(과학)과, 환경원예 디자인학(과,전공), 환경원예조경학부, 환경원예학(과,전공), BT학부 - 30 - -----------------------------------------------------Page 48----------------------------------------------------- 직무분야 중 직무분야 관 련 학 과 낙농산업과학전공, 낙농생명과학(과·전공), 낙농자원식품학과, 낙농자원 학과, 낙농학(과,전공), 낙농한우경영(과ㆍ전공), 대가축학(과ㆍ전공), 동물공학과, 동물과학과, 동물산업과, 동물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과학 (과,부,전공), 동물생명시스템공학(과ㆍ전공), 동물생명자원(전공,학과), 동물생명자원낙농과학과군, 동물생산환경(학)전공, 동물소재공학과, 동 물소재과학(과·전공), 동물영양자원공학·축산가공학·농업자원경제학과 군, 동물영양자원학과, 동물유전체전공, 동물자원(학)(과,부,전공), 동물 자원·농화학과군, 동물자원·조경학과군, 동물자원과학(과,부,전공), 동물 자원산업기계공학부, 동물자원생명과학전공, 사료과, 사료생산공학.축 산식품과학과군, 사료생산공학·축산가공학·농업자원경제학과군, 사료생 242 축산 243 임업 244 어업 산공학·축산가공학과, 사료생산공학과, 사료생산공학ㆍ축산식품과학ㆍ 농업자원경제학과군, 사료영양학과, 사료자원과, 생명자원경제학(과,전 공), 생명자원학부(동물자원학전공), 수의예과, 수의학과, 애완동물과, 애완동물관리과, 애완동물미용과, 애완동물ㆍ허브자원학부, 애완동물자 원학과, 애완동물학전공, 애완산업학부, 양돈양계경영(과ㆍ전공), 응용 동물과학(과,부), 응용동물학과, 의예생물ㆍ법의생물(과,전공), 자원동물 과, 자원동물산업과, 축산(학)(과ㆍ부ㆍ전공), 축산·식품생명과학부, 축 산가공학(과,전공), 축산개발과, 축산경영유통경제학(과ㆍ전공), 축산과 학부, 축산농화학식품공학과군, 축산식품경영(과ㆍ전공), 축산식품생물 공학전공, 특수동물학과, 협동조합경영과, 협동조합계열, 환경코디네이 션ㆍ동물과학계열 목재공업과, 목재산업공학과, 목재응용과학전공, 목재종이과학전공, 바 이오메디컬학(과ㆍ전공), 산림경영(과,학전공), 산림경영·조경학부, 산림 과학(과,부,전공), 산림생명자원과, 산림자원(학)(과ㆍ부ㆍ전공), 산림자 원보호(전공,학과), 산림자원조경학(부,과군), 산림자원조성학(과ㆍ전 공), 산림자원환경학(과,전공), 산림조경과, 산림학(과,전공), 산림환경 과학(과,전공), 산림환경시스템학(과ㆍ전공), 산림환경자원(학)(과ㆍ전 공), 산림환경학전공, 삼림경영학과, 삼림자원보호학과, 생명자원수산해 양학과군, 생태공학(과,부,전공), 생태시스템공학(과ㆍ전공), 생태ㆍ해충 방제전공, 생태조경학과, 식물ㆍ환경신소재공학(과ㆍ전공), 응용생물 (학)(과ㆍ전공), 응용생물공학(부,전공), 임산가공학(과ㆍ전공), 임산공 업과, 임산공학(과,전공), 임산공학과(전공), 임산생명공학(과,부,전공), 임산학과, 임학(과,전공), 임학·임산공학과군, 제지공학과, 환경·생명과 학부, 환경녹지(공)학(과,전공), 환경소재공학(과ㆍ전공), 환경임산자원 학부, 환경임산학전공, 환경조경ㆍ식물산업학부 수산개발과, 수산경영학(과,전공), 수산공학과, 수산생명과학부, 수산생 명의학(과,전공), 수산생명의학과, 수산생물양식학전공, 수산자원개발 (학)(과ㆍ전공), 수산자원생물학전공, 양식공학전공, 양식생물학전공, 양식학(과,전공), 어병학과, 어업(학)과, 어업공학전공, 증식학과, 해양 경찰(전공,학과,학전공), 해양경찰시스템학(과·전공), 해양바이오신소재 ((학)과, 전공), 해양산업경영학부, 해양생명양식학과, 해양생산공학전 공, 해양생산과학(전공,부), 해양생산관리학(과,전공), 해양생산시스템관 리학부, 해양생산학(과,군,전공), 해양수산자원전공, 해양식량공학전공 - 31 - -----------------------------------------------------Page 49----------------------------------------------------- [별첨 2] 관련계통학과 증명서 및 추천서 주소 성명 생년월일 학부 학과 년도 □ 졸업, □ 재학 대학교 대학원 전공 년도 □ 졸업(석 ‧ 박사) < 연구사 동일학과 증명시 > 위 사람이 졸업한 우리대학(교)의 학과는 2020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문 (경상남도인사위원회 공고 제2020-17호) 에 게재한 학과와 동일 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하 며,「 지방공 무원법 」에 따 라 2020년 도 경 상 남 도 지 방 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 응시대상자로 추천합니다. < 지도사 농업계통 증명시 > 위 사람이 □ 졸업한(□ 재학하는) 우리대학(교)의 학과는 2020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문 (경상남도인사위원회 공고 제2020-17호) 에 게재된 농업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하며,「지방공무원법」에 따라 2020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 응시대상자로 추천 합니다. ※ 학교연락처(전화) : 담당자 (직) 성 명 (서명) 2020. . . 학 과 장 날인 단과대학장 직인 ※ 첨부 서류 : 졸업증명서(단, 재학 또는 휴학생은 재학증명서 또는 휴학증명서) 1부 ○ ○ 대학교 총장 ( 직인 ) 경상남도인사위원회위원장 귀하 -----------------------------------------------------Page 50----------------------------------------------------- 【 작성 시 유의사항 】 ○ 본 증명서 작성 시에는 반드시 2020 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문 (경상남도인사위원회 공고 제2020-17호) 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본 증명서는 2020 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 응시자격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 필기시험 합격 시 제출할 서류입니다 . - 졸업자는 졸업증명서, 재학생 또는 휴학생은 재학증명서 또는 휴학증명서를 첨부 제출하여야 합니다. ○ 본 증명서는 전공학과를 근거해서 추천해 주시기 바라며 , 본인이 응시하지 않은 직렬과 관련된 문구는 삭제하여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 특히 , 편입응시자의 경우 이수과목 및 자격요건과 동등 학력이상의 학점 이수 여부를 필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연구사의 경우 전공한 학과에 대해 『 우리대학 ( 교 ) 의 ○○ 학과는 공고문에 게재된 ○○ 학과와 동일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함 』 문구가 기재된 관련 계통학과증명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 지도사의 경우 농업관련계통 학과 증명 시에는 『 우리대학 ( 교 ) 의 ○○ 학과는 공고문에 게재된 농업관련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함 』 이라는 문구가 기재된 관련계통학과 증명서를 필히 제출하여야 하며 , 허위로 기재하는 경우에는 관련법에 의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본 증명서는 응시자 출신 소속 학과의 학과장 및 단과대학장을 경유 하고 학교장 ( 총장 ) 의 직인 이 있어야 하며 , 전공 학과 명칭이 공고문에 게재된 학과와 동일한 경우에도 반드시 제출하여야 합니다 . ○ 기타 의문사항은 경상남도 인사과 고시교육담당 ( ☎ 055-211-3521) 으로 문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Page 51----------------------------------------------------- [별첨 3] 신규임용시험 가산대상 자격증 1. 6 급이하 일반직공무원 직 렬 직 류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증 기타 법령에 따른 자격증 공 업 일반기계 기 술 사 : 기계, 공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차량, 건설기계, 용접, 금형, 산업기계설비, 기계안전, 공장관리, 품질관리, 소방 기 능 장 : 기계가공, 에너지관리, 철도차량정비, 자동차정비, 건설 기계정비, 용접, 금형제작, 판금제관, 배관 기 사 : 일 반 기 계, 메 카 트 로 닉 스, 공 조 냉 동 기 계, 철도차 량, 자동차정비, 건설기계설비, 건설기계정비, 궤도장비 정비, 기계설계, 용접, 프레스금형설계, 사출금형설계, 농 업기계, 에너지관리, 산업안전, 품질경영, 승강기, 소방설비 산업기사 : (기계분야) 컴퓨터응용가공, 기계가공조립, 생산자동화, 기계설계, 공 농업기계 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철도차량정비, 철도운송, 자동 차정비, 건설기계설비, 건설기계정비, 궤도장비정비, 치 공구설계, 정밀측정, 용접, 프레스금형, 사출금형, 기계 정비, 판금제관, 농업기계, 배관, 에너지관리, 산업안전, 기 능 사 : 품질경영, 영사, 승강기, 소방설비(기계분야) 컴퓨터응용선반, 연삭, 컴퓨터응용밀링, 기계가공조 립, 생산자동화, 전산응용기계제도, 공유압, 공조냉동 기계, 에너지관리, 철도차량정비, 자동차정비, 자동차차 체수리, 건설기계정비, 양화장치운전, 궤도장비정비, 정밀측정, 용접, 특수용접, 금형, 기계정비, 판금제관, 농기계정비, 농기계운전, 배관, 동력기계 정비, 영사, 승강기 일반전기 기 술 사: 발송배전, 건축전기설비, 전기응용, 철도전기신호, 전기안전, 품질관리, 소방 기 능 장: 전기 기 사: 전기, 전기공사, 철도신호, 전기철도, 산업안전, 품질 경영, 승강기, 소방설비(전기분야) 산업기사: 전기, 전기공사, 철도신호, 전기철도, 산업안전, 품질 경영, 승강기, 소방설비(전기분야) 기 능 사: 전기, 철도전기신호, 승강기 일반화공 기 술 사: 화공, 세라믹, 화공안전, 가스, 품질관리, 식품 기 능 장: 위험물, 가스 기 사: 화약류제조, 화공, 산업안전, 가스, 품질경영, 식품, 화학분석 산업기사: 화약류제조, 위험물, 산업안전, 가스, 품질경영, 식품 기 능 사: 화학분석, 위험물, 가스 - 1 - -----------------------------------------------------Page 52----------------------------------------------------- 직 렬 직 류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증 기타 법령에 따른 자격 증 농 업 일반농업 기 술 사 : 종자, 시설원예, 농화학, 식품 기능사 자격증 기 사 : 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토양환경, 식품, 생물공학, 가산비율 적용 산업기사 : 기 능 사 : 축 산 기 술 사 : 기 사 : 산업기사 : 기 능 사 : 유기농업, 화훼장식 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농림토양평가관리, 식품, 유기농업 종자, 원예, 버섯종균, 식품가공, 유기농업, 화훼장식 축산, 식품 축산, 식품 축산, 식품 축산, 식육처리, 식품가공 : 농산물품질관리사 기사 자격증 가산 비율적용: 수의사, 방사성동위원소 취 급 자 (일 반 ), 방사선취급감독자 산업기사 자격증 가산비율적용 : 가축인공수정사 녹 지 산림자원 기 술 사 : 기 사 : 산업기사 : 기 능 사 : 조 경 기 술 사 : 기 사 : 산업기사 : 기 능 사 : 해양수산 일반수산 기 술 사 : 기 사 : 산업기사 : 기 능 사 : 보 건 보 건 기 술 사: 기 사: 조경, 종자, 산림, 농화 학 조경, 종자, 산림, 임업종묘, 식물보호, 임산가공 조경, 종자, 산림, 식물보호, 임산가공 조경, 종자, 산림, 임업종묘, 임산가공 조경, 시설원예, 산림, 자연환경관리 조경, 시설원예, 산림, 식물보호, 자연생태복원 조경, 산림, 식물보호, 자연생태복원 산림, 조경 해양, 수산양식, 어로, 수산제조, 수질관리, 식품 기능사 자격증 해양환경, 해양자원개발, 해양공학, 수산양식, 어업 가산비율 적용 : 생산관리, 수산제조, 수질환경, 식품 수산물품질관리사 해양조사, 수산양식, 어로, 수질환경, 식품 수산양식, 식품가공 산업위생관리, 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 기사자격증 가산비율 물처리, 식품, 방사선관리, 광해방지, 인간공학 적용: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수의사, 산업위생관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 약사, 한약사, 방사성 물처리, 식품, 광해방지, 인간공학 동위원소취급자 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 (특수, 일반), 방사선 취급감독자, 응급 물처리, 식품 구조사 1급, 보건 기 능 사: 식품가공 교육사 1급 산업기사 자격증 임상심리사1급(5%), 임상심리사2급(5%) 가산비율 적용: 임상 병리사, 의무기록사, 방사선사, 간호사, 조산사, 물리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 위생사, 작업치료사, 위생사, 영양사, 응급 구조사2급, 보건 교육사2급 기능사자격증 가산비율 적용: 보건교육사3급 - 2 - -----------------------------------------------------Page 53----------------------------------------------------- 직 렬 직 류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증 기타 법령에 따른 자격 증 의료기술 의료기술 기 술 사 : 방사선관리 기 사 : 의공 산업기사 : 의공 임상심리사1급(5%), 임상심리사2급(5%) 기사자격증 가산 비율 적용 : 의사 , 한의사 , 치과의사 , 약사 , 한약사 , 방 사성 동위원 소취급 자 ( 특수 , 일반 ), 방 사선 취급감 독자 , 응급 구조사 1 급 산업기사자격증가 산비율 적용 : 간호 사 , 조산사 , 응급구 조사 2 급 , 의지보조 기기사 환 경 일반환경 기 술 사 : 화공,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조경, 산림, 농화학, 해양, 기사 자격증 가산 화공안전, 산업위생관리, 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비율 적용: 의사, 지 질 및 지반, 폐기물처리, 자연환경관리, 토양환경, 약사, 수의사, 환경 방 사 선관리, 기상예보, 광해방지 측정분석사(대기 ․ 기 사 : 화공, 조경, 산림, 식물보호, 해양환경, 산업위생관리, 대기 수질) 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응용지질, 폐기물처리, 자연생 태복원, 생물분류, 토양환경, 기상, 광해방지 산업기사 자격증 산업기사 : 조경, 산림, 식물보호, 농림토양평가관리, 해양조사, 산업 가 산 비 율 적 용 : 위생관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위생사 자연생태복원 기 능 사 : 조경, 산림, 환경, 유독물취급기능사(1999. 3. 27. 이전 취득) 시 설 일반토목 기 술 사 : 토질 및 기초, 토목품질시험, 토목구조, 항만 및 해안, 도로 및 공항, 철도,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농어업토 목, 토목시공,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도시계획, 조경, 지 적, 지질 및 지반, 건설안전, 교통, 광해방지 기 사 : 건설재료시험, 콘크리트, 철도토목, 토목, 측량 및 지형 공간정보, 도시계획, 조경, 지적, 응용지질, 건설안전, 교통, 광해방지 산업기사 : 건설재료시험, 콘크리트, 철도토목, 토목, 측량 및 지형 공간정보, 조경, 지적, 건설안전, 교통 기 능 사 : 건설재료시험, 콘크리트, 철도토목, 석공, 전산응용토목 제도, 측량 시 설 건 축 기 술 사 : 건축전기설비, 건축구조, 건축기계설비, 건축시공, 기사 자격증 가산 건축품질시험, 건설안전, 소방 기 능 장 : 건축일반시공, 건축목재시공 기 사 : 건축설비, 건축,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산업기사 : 건축설비, 건축일반시공, 건축, 건축목공,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방수 기 능 사 : 전산응용건축제도, 타일, 미장, 조적, 온수온돌, 유리시 공, 비계, 건축목공, 거푸집, 금속재창호, 건축도장, 철 근, 방수, 실내건축, 플라스틱창호 - 3 - 비율적용 : 건축사 -----------------------------------------------------Page 54----------------------------------------------------- 직 렬 직 류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증 기타 법령에 따른 자격 증 방송통신 통신기술 기 술 사 : 전자응용, 정보통신 기 능 장 : 전자기기, 통신설비 기 사 : 전자, 정보통신, 전파전자통신, 무선설비, 방송통신, 정보처리 산업기사 : 전자, 정보통신, 통신선로, 사무자동화, 전파전자통신 전자통신 기 술 무선설비, 방송통신, 정보처리 기 능 사 : 전자기기, 통신기기, 통신선로, 정보기기운용, 전파전자 통신, 무선설비, 방송통신, 정보처리 전화교환기능사(1997. 6. 1. 이전 취득) 비 고 : 폐지된 자격증으로서 국가기술자격법령 등에 따라 그 자격이 계속 인정되는 자격증은 가산대상 자격증으로 인정한다 . - 4 - -----------------------------------------------------Page 55----------------------------------------------------- 2. 연구 ․ 지도직 직 렬 직 류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증 기타 법령에 따른 자격증 농업연구 작 물 기 술 사 : 종자, 시설원예, 농화학, 식품 기 사 : 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토양환경, 농화학, 식품, 생물공학, 농촌지도 농 업 유기농업, 화훼장식 산업기사 : 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농림토양평가관리, 식품, 유기농업 농촌지도 원 예 기 술 사 : 종자, 시설원예, 농화학, 조경, 식품 기 사 : 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토양환경, 농화학, 조경, 식품, 생물공학, 유기농업, 화훼장식 산업기사 : 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농림토양평가관리, 조경, 식품, 유기농업 농촌지도 축 산 기 술 사: 축산, 식품 기 사: 축산, 식품 산업기사: 축산, 식품 보건연구 의 학 - 기사 자격증 가산 비율적용 : 수의사,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자(일반), 방사선취급감독자 산업기사 자격증 가산비율적용 : 가축인공수정사 기사 자격증 가산 비율적용 :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수의사 해양수산 연 구 수산자원 기 술 사: 해양, 수산양식, 어로, 수산제조, 수질관리, 식품 기 사: 해양환경, 해양자원개발, 해양공학, 수산양식, 어업생산관리, 수산제조, 수질환경, 식품 산업기사: 해양조사, 수산양식, 어로, 수질환경, 식품 수산양식 기 술 사: 수산양식, 수질관리 기 사: 수산양식, 수질환경, 생물공학 산업기사: 수산양식, 수질환경 환경연구 환 경 기 술 사: 화공,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조경, 산림, 농화학, 해양, 기사 자격증 가산 화공안전, 산업위생관리, 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비율적용 : 지질 및 지반, 폐기물처리, 자연환경관리, 토양환경, 방 의사, 약사, 수의사, 사선관리, 기상예보, 광해방지 환경측정분석사 기 사: 화공, 조경, 산림, 식물보호, 토양환경, 해양환경, 산업 위생관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응용지질, 폐 산업기사 자격증 기물처리, 자연생태복원, 생물분류(동물·식물), 토양환 가산비율적용 : 경, 기상, 광해방지 위생사 산업기사: 화공, 조경, 산림, 식물보호, 해양조사, 산업위생관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자연생태복 원 비고 : 폐지된 자격증으로서 국가기술자격법령 등에 따라 그 자격이 계속 인정되는 자격증은 가산대상 자격증으로 인정한다 . - 5 - -----------------------------------------------------Page 56----------------------------------------------------- [별첨 4] 2020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장애인 등 편의지원 제공 안내 1. 편의지원 제공대상 ❍ 응시원서 접수자 중 원서접수 마감일 현재까지 - 『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 제 2 조에 의한 장애인으로 유효하게 등록되거나 -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제 14 조제 3 항에 의한 상이등급 기준에 해당되어 유효하게 등록 · 결정된 자로서 - 시각 ․ 지체 ․ 뇌병변 ․ 청각장애 등 외부 신체장애로 인해 시험응시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자 ❍ 기타 특수 · 중복장애 , 일시적 장애 등으로 응시에 현저한 지장이 있는 자 및 임신부 등 편의지원 제공이 필요한 자 2. 편의지원 신청 절차 유형별 편의제공 내용 확인 ▼ 원서접수 시 편의제공 신청 ▼ 증빙서류 제출 (의사진단서 또는 소견서) ▼ 서류 확인 및 적합여부 통보 유형별 편의제공 안내 내용을 참조하여 본인의 해당 사항 확인 ([참고1]의 장애유형 및 정도, 편의지원 내용, 증빙서류 확인) 원서접수 시 편의제공 신청화면에서 제공받고자 하는 편의지원 항목 체크 (필요한 경우 구체적인 내용 기재) 본인이 신청하고자 하는 편의지원에 필요한 증빙서류를 경상남도 인사과 고시교육담당으로 방문 또는 등기우편으로 제출 ♤ 제출기간 - 제2회 임용시험 : 2020. 4. 6.(월) ~ 4. 13.(월) - 제3회 임용시험 : 2020. 8. 3.(월) ~ 8. 10.(월) ※ 기간 내 방문 또는 제출기간 마감일 우체국 소인분까지 유효 ♤ 서류제출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경남도청 인사과 고시교육담당(우51154) ※ 2019년도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에서 증빙서류를 제출한 수험생 중 동일한 편의지원을 신청한 경우 증빙 서류 제출 면제( 18년도 이전 서류 제출자는 면제되지 않음) ♤ 유형별 편의조치 제공기준에 대한 적합여부 판단 ♤ 인터넷 또는 유선 등을 통해 적합여부 통보 및 세부사항 안내 - 1 - -----------------------------------------------------Page 57----------------------------------------------------- 3 . 편의지원 제공 신청시 유의사항 ❍ 장애 유형별 편의제공 내용을 사전에 반드시 숙지하여 본인의 편의제공 대상여부 , 제출서류 및 편의지원 신청가능 항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상이등급자인 경우, 장애인복지법상의 장애정도표를 기준으로 본인이 어떤 장애유형 정도에 해당되는지 참조한 후, [참고1]의 편의지원 내용과 증빙서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의사진단(소견)서에 해당 장애유형과 정도 기재] ❍ 의사진단서 또는 의사소견서에는 장애로 인한 해당 편의제공 내용의 필요성이 구 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어야 하며 , 「 의료법 」 제 3 조에서 정한 종합병원 ( 또는 상급 종합병원 ) 에서 해당 시험 응시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2 년 이내 발급 받은 원본만 유효하게 인정됩니다 . ※ 다만, 임신부의 경우에는 의료법 제3조에 의한 의원급 의료기관 및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발급한 의사소견서나 임신사실확인서도 인정됩니다. ※ 해당지역의 종합병원(또는 상급종합병원) 여부(소재지) 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www.hira.or.kr ) → [병원 ‧ 약국 찾기]을 클릭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반 드 시 병 원 확 인 후 발 급) ❍ 시험시간 연장 , 대필 등의 편의지원을 신청한 응시자는 ① 본인의 장애유형 및 정 도 ② 지 원 받 고 자 하 는 편 의 제 공 내 용 과 필 요 성 등 을 신 청 화 면 하단 의 입력란에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기재하여야 합니다 . ❍ 비장애인 모집단위에서는 [ 참고 1] 「 장애유형별 편의지원 내용 및 증빙서류 」 중 시험시간 연장 편의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 시험실시기관의 여건상 편의지원 내용 중 일부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2019 년도 경상남도 지방직공무원 임용시험에서 증빙서류를 제출하여 편의지원을 받은 응시자는 동일한 편의지원을 신청한 경우에 한하여 증빙서류 제출을 면제합니다 . ※ 단, 제출했던 서류의 발급일이 해당 시험의 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2년 이내인 경우만 인정하며 기한 경과 시 다시 제출해야 합니다. ❍ 기타 사항은 경상남도 인사과 고시교육담당 ( ☎ 055-211-3521) 으로 문의바랍 니다 - 2 - -----------------------------------------------------Page 58----------------------------------------------------- 참고1 장애유형별 편의지원 내용 및 증빙서류 장애유형 및 정도 편의지원 내용 증빙서류 지체 장애 상지 장애정도가 심한 자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자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 답안지 대필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 별도시험실 배정 1~3 급 ․ 시험시간 연장 1.5 배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기존 4~6 급 뇌병변 장 애 하지 장애정도가 심한 자 / 장애정도가 심한 자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 답안지 대필 없음 기존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1~3 급 ․ 휠체어 전용 책상 ( 휠체어 사용자 )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자 중 ․ 시험시간 연장 1.5 배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자 없음 ․ 별도시험실 배정 1~6 급 기존 4~6 급 좋은 눈의 시력이 0.04 이하인 사람 ․ 확대문제지 보조공학기기 , 확대답안지 지참 허용 ․ 시험시간 연장 1.7 배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 점자문제지 , 점자답안지 ( 점자정보단말기 사용자 ) ․ 축소문제지 ( 확대독서기 사용자 ) ․ 의사진단서 기존 1~2 급 기존 3 급 2 호 좋은 눈의 시력이 0.06 이하 이거나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5 도 이하로 남은 사람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 시험시간 연장 1.5 배 ․ 축소문제지 ( 확대독서기 사용자 ) 없음 기존 3 급 1,2 호 시 각 장 애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10 도 이하로 남은 사람 중 점자사용 필요성을 인정받은 사람 두 눈의 시야가 각각 모든 방향에서 장애정도가 10 도 이하로 남은 사람 심하지 않은 자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 시험시간 연장 1.7 배 ․ 음성지원컴퓨터 ․ 점자문제지 , 점자답안지 ( 점자정보단말기 사용자 ) ․ 축소문제지 ( 확대독서기 사용자 )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 시험시간 연장 1.5 배 ․ 축소문제지 ( 확대독서기 사용자 ) ․ 의사진단서 없음 기존 4 급 2 호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사람 없음 기존 4,5 급 1 호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기존 6 급 중 좋은 눈 0.3 이하 위 조건 이하의 시각장애인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2 호 , 6 급 청 각 2~6 급 기 타 ․ 특수 및 중복장애 ․ 일시적 신체장애로 응시에 현저한 임신부 ․ 시험 중 화장실 사용 허용 ․ 별도시험실 배정 ․ 의사진단서 ․ 의사소견서 또는 임신 사실확인서 ․ 별도시험실 배정 ․ 의사진단서 * 확대문제지 : A3 규격의 118%(14point), 150%(18point)로 확대된 2종류 중 택1 * 확대답안지 : A3 표기형과 기입형 총 2종류 중 택 1 * 축소문제지 : A4 규격의 82%(10point)로 축소된 문제지를 확대독서기 사용자에 한하여 신청 ※ 점자문제지는 개정된 점자규정(’17.3.28.시행)을 반영하여 제공됩니다. ※ 과학, 제2외국어 등 일부 과목의 경우 점자문제지 및 음성지원 컴퓨터가 지원되지 않으며, 수학은 점자문제지만 제공 ※ 화장실 사용 : 화장실 사용시간은 시험 시간에 포함됩니다. - 3 - (각1부) 비고 없음 기존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 별도시험실 배정 없음 심하지 않은 자 ․ 휠체어 전용 책상 ( 휠체어 사용자 ) ․ 별도 시험실 배정 없음 기존 ․ 별도시험실 배정 시간연장 필요성을 인정받은 자 ․ 의사진단서 ․ 확대문제지 , 확대답안지 ․ 휠체어 전용 책상 ( 휠체어 사용자 ) ․ 음성지원컴퓨터 장애정도가 5 도 이하로 남은 사람 중 점자사용 심한 자 필요성을 인정받은 사람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나쁜 눈의 시력이 0.02 이하이고 , 좋은 ․ 시험시간 연장 1.5 배 눈의 교정시력이 0.3 이하인 사람 ․ 의사진단서 시력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없음 기존 5 급 장 애 2 급 ~ 6 급 ․ 응시요령 등 서면자료 제공 ․ 보조공학기기 지참 허용 없음 기존 지장이 있는 자 ․ 장애정도를 검토하여 결정 과민성 대장 ‧ 방광증후군 ․ 시험 중 화장실 사용 허용 -----------------------------------------------------Page 59----------------------------------------------------- 참고2 의사진단서 (소견서) 발급 시 유의사항 1. 발급기관 : 의료법 제 3 조에 의한 종합병원 ( 또는 상급종합병원 ) ※ 반드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의 [병원 ‧ 약국찾기] 서비스에서 조회 후 해당되는 병원에서 발급해야 하며 전문의의 면허번호 와 서명(날인) 이 기재되어 있어야 함 ※ 의사진단서가 아닌 입원 ‧ 통원확인서, 진료확인서, (통원)치료확인서 등은 증빙서류로 인정 되지 않습니다. ※ 다만, 임신부의 경우 의료법 제3조에 의한 의원급 의료기관 및 병원급 의료기관 에서 발급 가능 2. 발급일자 : 해당시험 응시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2 년 이내 발급 ( 원본 ) 구 분 제2회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제3회 경상남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응시원서 접수마감일 2020년 4월 10일 2020년 8월 7일 진단서 발급일 2018년 4월 11일 이후 2018년 8월 8일 이후 3. 의사진단서 ( 소견서 ) 발급 시 반드시 포함 되어야 할 내용 ① 장애유형 및 정도에 대한 구체적 진술 ② 장애로 인한 시험 응시 시 불편사항 ③ 제공받고자 하는 편의지원 항목에 대한 필요성 인정 여부 - 장애유형 및 정도에 따른 편의지원 신청가능 내용을 참조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항목을 모두 기재 예시) 시험시간 연장, 점자문제지를 신청할 경우 - 편의지원 필요성 인정내역 : 시험시간 연장, 점자문제지 - 원 서 접 수 시 신 청 한 내 용 과 의 사 진 단 서 ( 소 견 서 ) 기 재 내 용 이 다 를 경 우 의 사 진단서에 의함 - 임신부 수험생의 경우에도 임신주수 , 편의지원 내용과 그 필요성이 모두 기재되어야 함 < 의사진단서(소견서) 발급 내용 예시 > 장애유형 및 정도 예 시 ※ ①~③ 반드시 기재 ① 장애유형 및 정도 : 시각장애 정도가 심한 자 장애정도가 심한 자 - 시력/시야 : 좋은 눈 0.07, 각각 모든 방향에서 5도 이하 ② 시험 관련 불편사항 : 시험 시 문제 판독에 점자 자료가 요구됨 시 각 장 애 ③ 편의지원 필요성 인정내역 : 시험시간 연장, 음성지원 컴퓨터, 점자문제지 ① 장애유형 및 정도 : 시각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자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자 - 시력 : 나쁜 눈 0.02이하, 좋은 눈 교정시력 0.3이하 ② 시험 관련 불편사항 : 시험 시 문제 판독이나 일반 답안지 마킹이 어려움 ③ 편의지원 필요성 인정내역 : 시험시간 연장 ① 장애유형 및 정도 : 뇌병변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자 - 증상 : 상지의 수의적 근육조절능력 손상 뇌병변 장 애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자 ② 시험 관련 불편사항 : 시험 시 문제 필기속도가 느리고 미세한 글씨쓰기 및 답안 마킹이 어려움 ③ 편의지원 필요성 인정내역 : 시험시간 연장 ① 장애유형 및 정도 : 편안 약시와 무수정체 장애 기 타 - 증상 : 눈의 운동장애 ② 시험 관련 불편사항 : 시험 시 문제 판독이나 일반 답안지 마킹이 어려움 ③ 편의지원 필요성 인정내역 : 시험시간 연장 ※ 시험시간 연장, 대필 등 내용이 포함 될 경우 반드시 (상급)종합병원 의사진단서 제출(소견서 불인정) - 4 - -----------------------------------------------------Page 60----------------------------------------------------- [별첨 5] 영어능력검정시험 및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체 안내 2021년부터 지방공무원 7급 공개경쟁 신규임용시험의 영어과목이 영어 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됩니다. ◈ 「 지방공 무원 임 용령」 개정 ( ’19. 6. 18. 시행) ◈ ❍ 대체가능시험 - 토플 (TOEFL), 토익 (TOEIC), 텝스 (TEPS), 지텔프 (G-TELP), 플렉스 (FLEX) ❍ 영어 과목을 대체하는 영어능력검정시험의 종류 및 기준점수표 (「공무원임용시행령」별표3 ) 시험의 종류 기준점수 청각장애 아메리카합중국 이.티.에스.(ETS: Education PBT 530점 PBT 352점 Testing Service)에서 시행하는 시험(Test 이상 이상 토플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으로서 (TOEFL) 그 실시방식에 따라 피.비.티.(PBT: Paper Based Test) 및 아이.비.티.(IBT: Internet IBT 71점 이상 - Based Test)로 구분한다. 아메리카합중국 이.티.에스.(E.T.S.: Education 토익 Testing Service)에서 시행하는 시험(Test of (TOEIC)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을 말한다. 700점 이상 350점 이상 625점 이상 375점 이상 텝스 서울대학교 영어능력검정시험(Test of (2018. 5. 12. 전에 실시된 시험) (TEPS) English Proficiency developed by Seoul 340점 이상 204점 이상 National University)을 말한다. (2018. 5. 12. 이후에 실시된 시험) 아메리카합중국 국제테스트 연구원(ITSC: 지텔프 International Testing Services Center)에서 Level 2의 65점 (G-TELP) 시행하는 시험(General Test of English 이상 - Language Proficiency)을 말한다. 플렉스 한국외국어대학교 어학능력검정시험 (Foreign Language Efficiency Examination)을 625점 이상 375점 이상 (FLEX) 말한다. ❍ 영어능력검정시험의 자체 유효기간 (2 년 ) 이 「 공무원임용시험령 」 에서 정하는 인정기간보다 짧기 때문에 유효기간 만료 전 성적을 미리 등록하여 , 2021 년 7 급 공개경쟁 신규임용시험부터 활용하기 위해 사전등록 필요 - 1 - -----------------------------------------------------Page 61----------------------------------------------------- 「공무원임용시험령」별표3은 최종시험 시행예정일부터 역산( 逆算) 하여 3년이 되는 해의 1월 1일 이후에 실시된 시험 으로서 제1차 시험 시행예정일 전날까지 점 수 가 발 표 된 시 험 으로 한정하고 있음 청각장애 응시자의 경우 해당 영어능력검정시험에서 듣기부분을 제외한 점수가 위 표의 기준점수 이상이면 응시할 수 있음(해당자는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청각장애가 유효하게 등록되어 있어야 함) - 청각장애라 함은 청각장애 정도가 심한 사람(舊 2 ‧ 3급) 외에 실질적으로 듣기시험 점수 확보가 어려운 청각 장애인 * 도 포함 * 응시자는 해당 시험 원서접수 시 듣기점수 적용 제외 대상임을 표시하고, 유효한 기간 내에 있는 진단서 원본을 별도 안내하는 기한까지 우편(등기)로 제출하여야 함, 청각장애의 정도가 심한 사람(舊2 ‧ 3급)으로 등록된 응시자는 진단서 제출 불필요 ❍ 사전등록대상시험 : 토플 , 토익 , 텝스 , 지텔프 ( ※ 플렉스는 성적 유효기간 경과 후에도 조회 가능하므로 사전등록 불요) - 토플 : 자체 성적유효기간 내 매월 1일~10일 등록 - 토익, 텝스, 지텔프 : 자체 성적유효기간 내 상시 등록 가능 ❍ 사전등록일 기준으로 각 시험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시험 성적만 등록가능 ❍ 2021년부터 영어능력검정시험이 대체되어 2018. 1. 1. 이후 실시된 시험부터 유효하므로, 사전등록은 2018. 1. 1. 이후 실시된 시험만 가능(토플, 토익, 텝스, 지텔프) - 2 - -----------------------------------------------------Page 62----------------------------------------------------- 2021년부터 지방공무원 7급 공개경쟁 신규임용시험의 한국사과목이 한국사 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됩니다. ◈ 「 지방공 무원 임 용령」 개정 ( ’19. 11. 5. 시행) ◈ ❍ 대체시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주관하여 시행하는 시험 ) ❍ 한국사 과목을 대체하는 영어능력검정시험의 종류 및 기준등급표 (「공무원임용시행령」별표4 ) 시험의 종류 기준등급 한국사능력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주관하여 시행하는 시험(한국사 검정시험 능력검정시험)을 말한다. 2급 이상 「공무원임용시험령」별표4는 최종시험 시행예정일부터 역산(逆算) 하여 4년이 되는 해의 1월 1일 이후에 실시된 시험 으로서 제1차 시험 시행예정일 전날까지 등 급 이 발 표 된 시 험 으로 한정하며, 기준점수가 확인된 시험만 인정함 ❍ 기타 사항은 경상남도 인사과 고시교육담당 ( ☎ 055-211-3521) 으로 문의바랍니다 . - 3 - -----------------------------------------------------Page 63-----------------------------------------------------
반응형
'시험공고 > 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충청남도 지방공무원(7급,9급 등) 임용시험 공고 (9급접수: 4.6~10 / 9급시험: 6.13) (0) | 2020.03.09 |
---|---|
2020 강원도 지방공무원(7급,9급 등) 임용시험 공고 (9급접수: 3.23~27 / 9급시험: 6.13) (0) | 2020.03.09 |
2020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공무원(7급,9급 등) 임용시험 공고 (9급접수: 4.6~10 / 9급시험: 6.13) (0) | 2020.03.09 |
2020 국회사무처 국회직 8급 공무원 공채시험 공고 (접수: 2.12~18 / 시험: 4.25) (0) | 2020.03.09 |
2020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7급,9급 등) 임용시험 공고 (9급접수: 4.6~10 / 9급시험: 6.13) (0) | 2020.03.09 |
댓글